▲ 황망기 편집국장
산업화가 시작되면서부터 개발과 보전의 명제는 양립할 수 없는 것처럼 항상 충돌했다. 개발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더 잘 살기 위해서는 일정부분 피해를 감수하더라도 개발을 통해 지역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논리이고, 보전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인간답게 살기 위해서는 무분별한 개발을 막아야 한다는 논리이다. 그간의 개발경험에서 난개발로 인한 폐해는 개발이 주는 편의보다 훨씬 컷다는 것이 보전을 주장하는 사람들의 논리이다. 개발을 추진하는 사람들이 노리는 것은 경제적 이득이다. 그런데, 개발을 둘러싼 논란은 개발지역의 주민 상호간에 더 치열하게 전개된다. 일종의 대리전이 될 수도 있는 상황이 왕왕 벌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갈등은 개발 이전부터 이웃하고 있던 지역사회를 황폐화시키게 마련이다. 산업도시인 광양에서 개발을 둘러싼 논란은 새삼스러운 것이 아니다. 그런데 최근 광양그린에너지가 추진하는 바이오발전소 건설과 관련된 논란은 이전의 논란과 다소 다르게 전개되고 있어 우려를 키우고 있다. 그동안 개발을 둘러싼 논란은 사업자와 주민간의 갈등이 대부분이었는데, 이번에는 주민 상호간의 갈등으로 비화되고 있다.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한 시민사회단체들이 반대대책위를 꾸려 발전소건설 반대운동을 전개하고 있는 가운데 지역 자생단체들이 유치추진위원회를구성하며 정면 대응하고 나선 것.
양측의 주장은 모두 광양을 잘 살게 하자는 것으로 귀결된다. 발전소 건설을 통해 침체된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자는 주장도 지역을 잘 살게 하자는 논리이고, 반전소 건설을 막아 전국 최악의 대기질을 더 악화되지 않도록 하자는 것도 지역을 사람이 살기 좋은 곳으 만들자는 논리이다. 양 극단의 논리가 주장하는 목표가 같다면 접점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그렇지만, 누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달 수 있을 것인가? 
유사한 류의 갈등상황이 전개될 때마다 지역의 갈등을 조정하고 해소할 합리적인 시스템의 필요성이 제기되지만 현실은 그리 녹녹치 않다. 지역 지도자들이라도 현안에 대한 일치된 의견을 제시할 필요가 있지만 각자의 이해가 다르다 보니 이 역시 기대할 수 없다. 결국 갈등의 악순환과 문제해결 이후의 앙금은 지역의 빚으로 남는다. 내년 선거를 앞두고 이러한 갈등구조는 더욱 가속화될 것이다. 지역사회 내에서 이웃끼리 서로 헐뜯고 싸우는 사이 그 이익을 챙기는 사람은 누구일까?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