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대 광양시의회의 전반기 원구성이 마무리됐다.
비례대표 2명 포함 5명의 초선의원이 포진한 광양시의회의 전반기 원구성에서 2명의 초선의원이 상임위원장 자리를 차지했다.
13명으로 구성된 광양시의회 의원들 중 11명이 더불어민주당 소속 의원이고, 2명이 민주평화당과 민중당 소속이다.
또, 5명이 초선이고, 8명이 재선이상이다.
의장과 부의장, 3명의 상임위원장은 재선이상이 3인이고, 초선이 2인, 더불어민주당 소속이 4명이고, 소수정파라 할 수 있는 민중당 소속이 1명이다.
외견상으로는 신구조화와 소수정파 배려가 돋보일 수도 있다.
그렇지만, 그 내막을 들여다 보면 과연 지방정치가 이래도 되나 싶다.
 
 
당초 전반기 의장선거에 출사표를 던진 의원은 재선이상 급에서 3명이었다.
모두 민주당 소속이다.
민주당이 절대 다수이기 때문에 민주당 출신이 의장을 맡는 것은 이상할 것은 없다.
의장 후보들이 동료의원들을 상대로 한 득표전이 치열하게 전개되자 민주당 소속 초선의원 5명이 뭉쳤다.
초선의원 5명의 힘은 막강하다.
7명만 모이면 의장이든, 부의장이든, 상임위원장이든 모두 차지할 수 있는 구도이다.
초선의원들이 자체적으로 의장, 부의장 후보를 조율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의장선거에 출마한 의원들을 포함한 민주당 소속 의원들이 당론(?)을 모으기로 했다.
지역위원장을 포함한 소속의원 전원이 모인 상태에서 민주당 소속 의원들만으로 예비경선이 치러졌다.
이러한 부분은 국회에서도 볼 수 있는 현상이기에 그럴 수도 있다.
그리고, 3차까지 가는 접전 끝에 A의원을 의장 후보로, B의원을 부의장 후보로 선출했다.
이 자리에서 상임위원장 후보까지 선출했는지는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민주당 소속 의원들의 이러한 행위는 소수정파를 배제하고, 지방의회 마저 특정 정당이 좌지우지 한다는 비난을 야기할 소지는 있다.
그렇지만, 정당정치의 근본을 생각한다면 그럴 수도 있다고 이해할 부분도 있다.  
문제는  특정정당 소속 의원들이 모여 자신들이 정한 룰 속에서 후보를 선출했음에도 이를 승복하지 않는 문화이다.
의장 후보로 나섰다 탈락한 C의원은 자당 소속 의원들의 결정에 승복할 수 없었다.
이 의원은 다른 정당 소속 의원을 끌어들이는 작업에 나섰고, 이는 일정부분 성공을 거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최종적으로는 자당 소속 의원들이 선택한 후보가 의장에 당선됐다.
비록 의장선거에는 졌지만 상임위원장 선거가 남았다.
의장선거에서 자신들이 미는 후보를 지지하지 않은 의원이 상임위원장이 되는 것을 수수방관 할수는 없는 일.
다시 자신들의 세력에 속한 의원을 상임위원장으로 선출하기 위한 이합집산이 시작됐고, 그 결과는 비례대표 초선 의원의 상임위원장 당선으로 나타났다.
 
 
상임위원장 선거가 예상 밖의 결과로 치러지면서 원구성도 스텝이 꼬이게 됐다.
총무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은 초선의 비례대표 의원이 운영위원장에 당선되면서 총무위원회 부위원장을 다시 선출해야 하지만 아무도 나서지 않았다.
결국 운영위원장이 총무위원회의 부위원장 역할까지 맡게 됐다.
운영위원회 역시 마찬가지다.
운영위원회는 상임위원회 위원장과 부위원장, 의장이 지명한 2인 등 6인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초선의 비례대표 위원장을 보좌할 부위원장을 아무도 맡으려 하지 않았다.
결국 우여곡절 끝에 운영위원회 부위원장은 산업건설위원회의 간사를 맡은 비례대표 의원이 겸임을 하기로 했다.
초선 비례대표 의원 중 한 사람은 운영위원장과 총무위원회 부위원장을 맡고, 또 다른 한 명은 산업건설위원회의 부위원장과 운영위원회의 부위원장을 맡게 된 셈이다.
정치는 명분으로 이뤄진다.
그렇지만, 광양의 지방정치에서 명분은 찾아보기 힘들다.
극단적 이기주의와 실리추구만 보인다.
주민들을 위해 봉사하겠다는 선거 당시의 거창한 구호는 매번 속는 것이니 그렇다 치자.
그렇지만, 이번 광양시의회의 원구성 과정에서 난무한 배신과 편가르기, 이합집산을 지켜보는 시민들은 이미 그들의 안중에 없다.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