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대학이 폐교의 기로에 서 있는 광양에서 ‘대학의 위기’라는 말은 일상이 되었다.
어떤 것이든 일상이 되면 둔감해 지고, 그러한 상태에서 맞닥뜨리게 되는 위기는 더욱 치명적이기 마련이다.
한국 대학의 위기는 급격한 저출산에 따른 입학자원의 부족에서 비롯됐다.
1970년대 년평균 출생아수가 100만명에 육박하던 것이 40여년이 지난 2017년 말 기준으로 36만명으로 줄어들었다.
여기에 대학의 과잉공급도 한몫 하고 있다.
1980년도 말 전국의 대학은 전문대와 대학과정을 포함해 167개교였으나 2018년 현재 대학과정은 226개교로, 전문대과정은 158개교로 2.3배가 늘었다.
입학자원은 1/3로 줄었는데 오히려 대학은 2.3배가 늘어난 것이다.
입학자원 감소와 대학 과잉공급은 대학을 생존의 기로로 내몰고 있으며, 매년 문을 닫는 대학의 현실을 목도하고 있다.
 
 
올해 2월 28일자로 광양지역 대학과 자매대학인 남원의 서남대가 문을 닫았다.
서남대가 폐교된 후 재학생 2천여명은 전북의 다른 대학으로 편입이 되었지만, 교수 147명은 실업자가 됐다.
3,8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서남대 앞 원룸촌은 완전 붕괴되었으며, 소비도시인 남원시의 인구는 1996년 14만명에서 서남대 폐교 이후 8만명으로 6만명이 줄었다.
실업자가 된 교수들의 체임은 220억원 규모에 이르며, 붕괴된 원룸촌의 경우 한때 6~7억원에 거래되던 건물들이 2억원에 내놓아도 거래가 되지 않는다고 한다.
한때 젊은이들로 북적이던 학교 인근 상가는 모두 문을 닫아 폐허가 됐다.
49명의 의대입학정원을 보유했던서남대 의대에 정치권에서는 2022년까지 공공의과대학 설립을 주장하고 있어 지역사회에서는 이에 일말의 기대를 걸고 있지만, 교수 등 당사자들은 이러한 약속을 믿지않는 분위기가 높다고 한다.
대학의 폐교가 대학이 위치한 공동체와 지역사회에 어떤 결과를 가져올 것인지 서남대 사태는 잘 보여주고 있다.
 
 
광양보건대는 설립자의 횡령 등의 비리로 지난 2015년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최하위등급을 받아 국가재정지원제한대학, 국가장학금 제한, 학자금대출 제한이라는 제재를 받게 된다.
지역대학을 살리자는 논의는 우후죽순처럼 나오고 있지만 현실적인 방안은 정치권도, 대학당국도, 시민단체도, 행정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한때 3,500여명의 학생들로 북적이던 광양보건대의 경우 부실대학 지정이후 제재와 정원감축 등으로 현재 재학생은 1,473명에 불과하다.
그 여파는 이미 대학이 소재한 광양읍 덕례리 일원에 미치고 있다.
덕례리에는 149개동, 2,254실의 원룸촌이 조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원룸촌의 공실율은 63.3%에 달하고 있다.
1,500여명에 이르는 학생들의 소비생활이 지역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에 대해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대학 측은 직접소득효과를 248억원으로 추산하고 있다.
단순한 경제적 셈법이 아니라 ‘대학없는 도시’가 되지 않기위한 비책을 고민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