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의 백운산 학술림 무상양도 문제가 당분간 쉽게 해결되지 않을 전망이다.
지난 4일 광양읍사무소 회의실에서 열린 ‘광양 백운산 어떻게 할 것인가’ 시민의견 청취를 위한 광양시민 토론회에서 서울대와 광양시민단체는 서로간의 입장차만 확인하고, 토론회를 종료했다.
다만, 광양시는 8년 만에 서울대의 의견을 처음 들었다는 의미에서는 한발 다가갔다고 할 수 있다. 
광양 백운산은 일제강점기인 1912년 동경제국대학에서 34년간 연습림으로 관리 운영해 온 것을 해방 후 미군정청으로부터 서울대가 대부받아 80년간(현재까지) 학술림으로 사용해 왔는데, 2010년 10월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백운산 무상양도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했다. 이 법률에 따르면 법인 설립 이전에 서울대 관리 재산과 연구용재산, 교육용 재산 등을 서울대 법인에 무상 양도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광양 시민 및 시민단체들은 2011년 4월부터 광양 백운산 지키기 시민운동을 시작하여 8년의 세월동안 서울대학교에 맞서 학술림 소유 문제를 놓고 싸워왔다. 그러던 중 2017년 2월, 서울대학교 측이 기획재정부에 백운산 학술림 중 일부를 양여해 줄 것을 요청하면서 오늘에 이르게 된 것이다.
4일 열린 토론회에서 서울대 임상준 학술림장은 “학술림 전체면적 1만6,213ha 중 약 6%(970ha)내외 수준의 양여 요청을 계획 중”이라며, “옥룡면 추산리 추산시험장 지역과 옥룡면 동곡리 한재지역 등이 이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임상준 학술림장은 “광양시 옥룡면 추산시험장 지역은 교육․연구 및 실습장소로 활용하기 위해 약 260ha에 대해 양여를 요청하고, 광양시 옥룡면 동곡리 한재지역은 장기생태 연구 및 유전자원․산림 보존을 위해 약 440ha를 요청한다”고 밝혔다.
임 학술림장은 “학술림에 대한 무상양여는 이미 끝난 문제다. 이제는 함께 나갈 수 있는 방법들을 생각해 봐야 한다”며, “그 동안의 갈등의 원인은 서로 바라보는 곳이 달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백운산 학술림은 2016년 사이언스지에 등재된 적이 있는 대한민국의 자랑, 세계의 자랑이 되는 곳”이라며 “이를 지키기 위해서 광양시와 함께 제대로 된 숲을 만들어 가자”고 말했다.
또, 이석하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학장은 "서울대학교는 백운산을 연구하고 백운산의 식물들을 보존하고 개발하는 순기능도 있다“며 ”서울대와 함께 손잡고 나아가 백운산을 설악산과 같은 국립공원으로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서울대 교수들의 입장과는 달리 백운산지키기협의회 등 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서울대의 무상양여 입장에 반대하고 나섰다.
이경재 전 백운산국립공원 추진실무위원장은 "백운산은 광양인의 영적자산이자 삶의 터전이며, 동식물 1,100여종이 서식하고, 3,000여 종 이상의 곤충이 서식하는 곳으로 우리 모두가 건강한 생태계로 보호 관리되어야 하는데, 그동안 서울대학교는 증흥사 부근 임야 38ha를 간벌하는 등 백운산 관리 및 연구에 투자가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대가 주장하는 최소 면적의 양여는 먼저 면적 요구에 대한 구체적 타당성을 검토하고 주민 합의를 통한 전제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지정토론에 나선 정용성 전 백운국립공원추진위원장은 "서울대는 80년 동안 학술림을 무상으로 임대해 간 것“이라며 ”서울대의 임대가 정당한 것인지 먼저 국정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주식 백운산지키기협의회 추진위원장은 “서울대는 지금 무상양여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는데, 구체적으로 백운산을 어떻게 잘 가꿀 것인지, 왜 무상양여가 필요한지 좀 더 구체화 된 제안이 있어야 한다”고 반박했다.
박 추진위원장은 “백운산지키기협의회는 서울대에 단 1평의 땅도 내 줄 수 없다”며, “광양 땅인 백운산을 누구에게 임대받아서 사용한 것이 아니기 때문”라고 말했다.
박 추진위원장은 “지금까지 서울대가 무엇을 했으며, 광양시민들에게 무엇을 해줬는지 궁금하다”며 “적어도 서울대가 앞으로 광양시민들에게 이런 거라도 해주겠다는 제안들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양재생  기자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