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 희 구 (필명 장강)사)한국한문교육연구원 이사장시조시인 / 문학평론가 / 문학박사
元宵(원소)[1]
/ 매천 황현

봄추위 말하기가 차마도 어려워라
바람이 칼날 같아 홑바지 파고들고
오늘밤 달을 보면서 옛날 달을 못보고.
春寒難道是輕寒   風利如刀袴褶單
춘한난도시경한   풍리여도고습단
處處沙場今夜月   無人把作舊時看
처처사장금야월   무인파작구시간
 
별 것 아닌 봄추위에 칼바람이 찾아들고, 
모래사장 떠오른 달을 볼 사람 없는 것을
 
중국인들에 정월 대보름에 복을 기원하며 먹는 찹쌀가루로 만든 흰 경단을 만든다. 
위안샤오[元宵]는 위안샤오제[元宵節, 음력 정월 보름]에 복을 기원하며 먹는 음식으로 찹쌀가루를 동그랗게 반죽하여 소를 넣거나 또는 소를 넣지 않고도 만든 흰 경단이다. 소는 팥, 땅콩, 참깨, 호두, 설탕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만드는데, 국에 띄워 먹으면 ‘탕위안(湯元)’이라 하고, 시럽에 띄워 먹으면 ‘탕퇀(湯団)’이라고도 한다. 시인 별 것은 아닌데 봄추위라 말하기가 어려워라, 칼날 같은 바람이 홑바지를 파고든다면서 읊었던 시 한 수를 번안해 본다.
옛날처럼 달을 볼 이는 아무도 없으리라(元宵1)로 제목을 붙여본 칠언절구다. 작자는 매천(梅泉) 황현(黃玹:1855~1910)이다. 위 한시 원문을 의역하면 [별 것은 아닌데 봄추위라 말하기가 차마 어려워라 / 칼날 같은 바람이 홑바지를 파고드는네 / 오늘 밤은 이곳저곳 모래사장에 뜬 달을 보며 / 옛날처럼 달을 볼 이는 아무도 없으리라]라는 시상이다. 이어진 오른쪽 평설에서 시상의 범상함을 아래와 같이 정리한다. ‘별 것 아닌 봄추위에 칼바람이 찾아들고, 모래사장 떠오른 달을 볼 사람 없는 것을’이라는 화자의 상상력이다.
위 시제는 [음력 대보름날]로 의역해 본다. '원소절'의 '원(元)'은 '정월(正月)'을 나타내고, '소(宵)'는 '밤(夜)의 옛말'로 '정월 보름날 밤'이라는 뜻이다. 상원, 원월, 원석이라고도 하고, 등불을 내다 거는 날이라는 뜻에서 등절, 등롱절, 등석이라고도 부르기도 한다. 원소절 저녁에는 사람들이 삼삼오오 짝을 지어 형형색색의 등롱을 감상하고 폭죽을 터뜨려 축제분위기를 만끽한다. 등롱에는 수수께끼를 붙여두기도 해서 관객들은 그 수수께끼를 풀면서 즐거움을 더한다. 요즈음에는 원소절을 축하하는 활동이 등불놀이뿐만 아니라 초롱 속 수수께끼 풀기, 사자춤, 불꽃놀이 등 그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단다.
시인은 중국의 풍습에 빗대고는 있어 보이지만, 기실 우리 것과 비교하면서 우리가 우위에 있음을 알게 한다. 음력 대보름날에는 별 추위인데도 봄추위라고 말하기가 아직은 어렵다고 하면서 칼날 같은 바람이 홑바지를 파고든다고 했다. 톡톡 튀는 겨울의 한 풍취를 느끼게 한다. 이 원소절의 의미는 우리의 고유명절의 하나라는 점이 시상 속에 가득 묻어 있음도 알게 된다.
화자는 이와 같은 생각을 하면서 보름달이라는 의미를 잘 품어 내고 있음 보이는 선경의 시상이다. 오늘 밤은 이곳저곳 모래사장에 뜬 달을 보면서 옛날처럼 달을 볼 사람은 아무도 없다는 후정의 시상을 만지작거리고 있다.
 
【한자와 어구】
春寒: 봄추위. 難道: 말하기도 어렵다. 是輕寒: 가벼운 추위다. 風利如刀: 바람이 칼날같이 예리하다. 袴褶單: 홑바지를 파고든다. // 處處沙場: 이곳저곳의 모래사장. 今夜月: 오늘 밤 달을 보다. 無人: 사람이 없다. 把作: 손에 잡 듯하다. 舊時看: 옛날과 같이 보다.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