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양 스마트도시 서비스 모델 예시도.
성공의 필수 조건은 주민의 자발적 참여… 체감도 높은 사업이 실패하지 않아
 
스마트시티는 단순히 ‘스마트(Smart)’와 ‘도시(City)’라는 개념의 결합을 뛰어넘어 현재 도시들이 가지고 있는 복합적 문제인 안전, 환경, 교통, 에너지 등의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시를 스마트하게 만든 것이라 할 수 있다.
문재인 정부도 국가의 고른 발전을 위해 지방분권과 균형발전은 시대적 소명이라 인식하고, 이에 대한 전략과 과제로 스마트시티를 제시했다.
스마트시티가 다양한 도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시계획단계부터 사물인터넷기술(loT)과 빅데이터 등의 첨단 ICT기술을 접목하여 시민들이 안전하고 편리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보장해주는 미래형 도시이기 때문이다.
 
■ 스마트시티의 국내외동향
스마트시티는 최근 선진국이나 개발도상국에게 모두 중요한 관심사로 떠오르면서 전 세계적으로 계속 확산되고 있는 중이다.
미국은 30년 후의 미래 교통부문을 선도하기 위해 ‘Beyond 2045 Traffic’이라는 30년 프레임 워크를 제시하고 ‘스마트시티 챌린지(The Smart City Challenge)’라는 프로젝트를 통해 정교한 첨단 교통기술과 저탄소 교통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또, 싱가포르는 민관협업을 기반으로 데이터 중심의 플랫폼을 구축하여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브라질의 리우데자네이루는 에너지의 이용 방법과 기상 날씨, 사람들의 움직임 등을 디지털 정보로 관리하는 시티 오퍼레이션 센터(City Operation Center)를 운영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00년 중반에 유비쿼터스 시티(U-City)에 대한 개념을 확립하고 전국 규모의 U-City 구축을 추진해 왔다. 2000년 중반 이후부터는 지자체 주도의 공공 인프라 구축 중점의 U-City에서 민간을 중심으로 한 loT 기반의 스마트시티에 대한 개념을 확립하고 전국 규모의 스마트시티 구축을 추진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아울러 정부는 기존의 유시티법을 2017년 2월 스마트 시티 조성과 육성에 관련된 법으로 개정하고, 2018년 1월에는 스마트 시티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세종 5-1 생활권과 부산 에코델타시티를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로 지정했다.
 
■ 광양 스마트시티 2023
광양시도 지난 1월 스마트도시계획 수립을 시작으로 체계적인 스마트 도시계획을 통한 新성장 경제도시 광양구현을 위한 스마트시티2030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지난 10월 18일에 있었던 ‘광양 스마트도시계획 수립 용역 중간보고회’에서 용역사는 사업추진 개요를 설명하면서 광양시의 스마트시티의 청사진을 제시한 바 있다.
이날 용역사는 “광양은 현재 광양제철소와 연관 산업이 발달되어 있으며, 외투기업 우대지역인 경제자유구역 지정과 동북아 항만물류 거점인 컨테이너, 자동차 환적 기능의 광양항을 보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백운산, 섬진강 등 천혜의 자연환경도 함께 지니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항만 물류의 배후기능 육성을 위한 지능화된 도시기반시설의 조성과 신소재 산업 허브 구축에 따른 국제도시를 만들 수 있으며, 역사․문화․자연자원을 활용한 스마트 관광 산업 활성화를 실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나아가 용역사는 시민이 건강한 스마트 생활도시, 시민이 활기찬 스마트 관광도시, 시민 중심의 스마트 안전도시, 시민과 소통하는 스마트 행정도시, 시민이 편리한 스마트 인프라 도시 등 전략모델 5가지를 제시했다. 
 
■ 주민참여형 스마트 시티 필요
스마트시티는 현재 전 세계가 주목하는 미래의 도시상이지만 실질적으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아직 해결해야 할 기술적인 문제점들이 많다. 스마트시티의 한계점을 극복해야만 실질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 스마트시티 광양 2030은 우선 시민 주도하에 이루어야 한다.
현재 스마트시티의 새로운 추세는 스마트시티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향상을 위해 ‘시민과 도시공동체’에 주목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이 직접 참여해 해당 지역에 필요로 하는 서비스 수요를 반영하고, 주민참여로 체감도가 높은 서비스가 우선적으로 적용되도록 추진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시민의 의견을 수용한 서비스 구현 방법론인 ‘리빙 랩(Living Lab)’이 주목을 받고 있다. 삶의 실험실로 직역할 수 있는데, 삶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연구를 하자는 의미로 해석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하자는 뜻이며, 스마트 시티에서는 시민이 주인이 되는 셈이다.
이전 스마트시티 개발은 경제의 규모로 인한 대도시 중심의 최첨단 기술의 집합체에 주목해왔던 경향이 다분했다. 하지만 이제는 이해관계자가 직접 사회 및 비즈니스 문제에 참여할 수 있도록 사용자 주도형 ‘혁신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시민참여형 생성 데이터의 상호 연동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가 마련하면, 시민이 보다 적극적으로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개선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날 용역사도 “스마트시티의 성공은 첨단 기술에 있는 것이 아니라 시민들이 느끼는 삶에서의 구체적으로 나와야 한다. 주민이 체감하지 못하는 스마트 시티는 결국 실패하고 말 것 ”이라고 말했다
 
■ 도농격차 해소 위한 스마트 빌리지
스마트시티는 도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시스템이다. 그런데 스마트 시티를 개발하면서 반대로 도시와 농촌의 격차가 더욱 벌어진다면 그것은 배가 거꾸로 가는 것과 같은 이치가 된다.
이에 따라 스마트시티 개발을 할 때 농촌과 도시의 특성차이를 반영해야 한다. 인도, 말레이시아 등 개발도상국에서는 농촌의 빈곤 퇴치, 농촌 혁신 개발 방안의 일환으로 스마트 빌리지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스마트 빌리지는 대도시·신도시 중심의 스마트시티 정책의 대안으로 농어촌 지역의 자산과 잠재력을 바탕으로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만들어 지속가능한 농어촌을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도시 인프라 공유를 통해 농어촌 지역 주민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농촌 주민들에 대한 기술 교육 및 정보통신접근성을 향상하는 것이 해결책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 상하수도 관리 및 음식 공급, 주거지와 위생개선 등 ICT 기반의 물리적 환경 개선이 따라와 주면 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시티 광양 2030은 시민 주도하에 이루어 져야 하며,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도․농 격차를 해소하고, 지속가능한 도시 경쟁력을 확보해 도시 수요기반의 광양만의 스마트 시티를 구축하면 실패하지 않을 가능성을 높일 것이다.
 
양재생 기자
 
※ 이 취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