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현복 광양시장이 민선7기 5대 핵심 정책 및 4대 행복공약을 지난 3일 언론인 브리핑을 통해 밝힌 가운데 광양시민단체연대회의가 민선7기 정책의 전면적 재검토를 요구하고 나섰다.
지난 10일 광양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이하 연대회의)는 시청 브리핑룸에서 광양시민사회단체 입장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민선7기 정책 방향설정을 전면적으로 다시 하라고 요구하며, 각 분야별 입장을 발표했다.
연대회의는 민선7기 주요정책 및 4대 행복공약과 분야별 공약을 검토하기 위해 정책검토 실무위원회를 구성하여 3번의 토론회를 거치며 각 분야별 입장을 작성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먼저 “민선 7기 5대 핵심공약사업은 어린이테마파크 조성, 이순신 해변관광 테마거리 조성, 미래 4차 산업 육성, 섬진강 뱃길 복원 및 섬진강 마리나 개발, 광양읍 목성․인서지구 개발 등인데, 5대 핵심정책의 특징은 인근 도시에 비해 뒤늦은 관광산업개발에 주목하고 있으며, 주택 보급률 112%가 넘는 광양시에 토목 개발 사업이 집중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개발 중심의 정책이 광양시가 실현하고자 하는 아이 양육하기 좋은 도시, 교육의 도시를 실현할 수 있는 정책인지 생각해봐야 하며, 이러한 정책을 제안함에 있어 광양시의회는 물론 광양시민들의 다양한 의견수렴과 광양의 환경적 지리적 여건까지 고려됐는지 따져야 한다는 것.
연대회의는 “어린이테마파크 조성사업은 아이 양육하기 좋은 도시를 위한 기반구축으로 지역의 어린이들이 타 도시에 의존하지 않고 우리지역에서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장소가 필요하다는 시민들의 요구에서 비롯됐는데, 어느 순간부터 순천시나 여수시의 경쟁력은 물론 세계 유일무이한 임팩트 있는 가족형 테마파크로 확대됐다”며, “이러한 테마파크는 누가 운영할 것이며, 사업 실효성은 있는지 시민들은 걱정과 염려를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환경파괴와 대기오염, 오존 파괴, 미세먼지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감은 한계에 달했음에도 불구하고 광양우드펠릿화력발전소 개발에 강 건너 불구경 하는 자세로 일관하며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명분만을 내세웠다”고 주장했다. 
연대회의는 “광양읍 상설시장과 진상5일장 현대화 사업 등에 대한 실효성을 검토해야 한다”며 “광양읍5일장과 옥곡5일장 현대화 사업으로 인근지역의 5일장 상권을 이미 충분히 확보했기에 지금의 사업은 보여주기, 나눠주기식 예산 낭비 정책으로 전락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연대회의는 발표문을 통해 △어린이테마파크, 이순신 해변공원 조성 등 관광개발 사업 재검토 필요 △4대 행복공약 보완 △바이오매스 발전소 개발 재검토 △백운산 소유권 관련 정책 필요 △인구 빼돌리기 정책 재검토 △장애인복지 예산과 탈시설 정책 예산 확대 △문화예술관광 사업 재검토 등을 요구했다.
연대회의는 “민선7기 정책이 시민을 위해 민주적이며, 투명하게 실현되기를 희망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현복 시장이 편 가르기와 내 사람 챙기기에서 벗어나 좀 더 큰 포용력을 발휘해야 한다”며, “지금이라도 민생 안정을 추구하고 시민과의 소통해야 할 것을 주장하며 민선7기 정책의 전면적 재검토를 요구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회견에서 “편가르기, 블랙리스트에 대해 구체적인 사례가 있나? 그 사례를 밝힐 수 있나?”라는 질문에 시민단체 관계자는 “시민사회단체의 느낌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시민들의 목소리에서 나온 이야기다. 체육회 사무국장 선임건이 그렇다”고 답변했다.
또 “편가르기, 블랙리스트에 대한 제보를 공개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누구라고 밝히기에는 분란만 조장하는 꼴이 된다”고 답변했다.
“오늘 발표한 내용을 보면 민선7기 방향설정을 다시 하라고 하는데, 시민단체가 경종만 울리고 마는 경우가 있다. 지금 광양시 행정에 대해 대책이 있는지, 또 지속적으로 대안을 제시 할 것인지 앞으로의 계획들을 말해 달라”는 질문에 연대회의 관계자는 “지금까지 시민단체가 행정 견제에 대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기에 오늘 자리를 마련했다. 400페이지가 넘는 자료를 보는 것만으로도 시간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앞으로 지속적으로 준비해 시민의 목소리를 전달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연대회의는 광양시의회에 대해서도 그동안 광양시 행정에 대해 시민단체와 소통하지 못한 점을 아쉬워하며 이러한 부분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양재생 기자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