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 희 구{시조시인・문학평론가 문학박사・필명 여명 장강 사)한국한문교육연구원 이사장}

        慶州鷄林(경주계림) 
                                        叙光 張喜久

        고읍인 계림 땅은 유적지로 이름났고
        청사에 빛을 발한 만년의 뿌리라네
        신라의 찬란한 문화 존경으로 남아있고.
        古邑鷄林遺蹟元   三韓靑史萬年根
        고읍계림유적원   삼한청사만년근
        新羅敎化光明裏   往事當時益敬尊
        신라교화광명리   왕사당시익경존

‘계림 유적 유명하고 청사 빛낸 만년 뿌리, 
신라 문명 광명 밝아 존경하기 한량없네’

 

첨성대와 월성 또는 신월성 사이에 있는 숲으로 왕버들·느티나무·단풍나무 등의 고목이 울창하게 서 있는, 신라 건국 당시부터 있던 곳이다. 처음엔 시림始林이라고 부르다가 김씨의 시조 김알지가 태어난 이후부터 계림鷄林이라 했단다. 반월성에서 첨성대로 내려가는 중간에 위치한 숲이다. 숲 가운데로 시냇물이 흐른 습지다. 울창한 숲이지만 이곳의 나무를 함부로 베지 않아 옛 모습 그대로다. 고읍인 계림은 남겨진 유적지로도 유명하고, 삼한은 청사에 빛이 나는 만년의 뿌리라네 라고 읊었던 시 한 수를 번안해 본다.
찬란한 신라 문화는 광명으로 밝은 속에서도(慶州鷄林)로 제목을 붙인 칠언절구다. 서광 장희구(張喜久:1945∼ )다. 위 한시 원문을 의역하면 [고읍인 계림은 지금 남겨진 유적지로도 유명하고 / 삼한의 청사에 빛나는 만년의 뿌리라네 // 찬란한 신라의 문화는 광명으로 밝은 속에 / 이미 지나버린 당시의 일들은 더 존경스럽기 한량없네]라는 시상이다. 평설과 감상은 다르다. 시인의 품속에 들어가서 시상을 살펴본다.  라는 화자의 상상력을 만난다.
위 시제는 [경주계림을 구경하고 나서]로 의역된다. 경주계림은 첨성대와 월성 사이에 있으며, 경주 김씨의 시조 알지(閼智)가 태어났다는 전설이 있는 유서 깊은 곳이다. 신라 탈해왕 때 호공이 숲에서 닭이 우는 소리를 들었는데, 가보니 나뭇가지에 금궤(金櫃)가 빛을 내며 걸려 있었다. 이 사실을 임금께 아뢰어 왕이 몸소 숲에 가서 금궤를 내렸다. 뚜껑을 열자 궤 속에서 사내아이가 나왔으니 성은 [김]이요, 이름은 [알지]라 하고, 본래 구림(鳩林)이라 하던 이 숲을 계림(鷄林)으로 부르게 되었다.
 시인은 이와 같은 전설을 가지고 있는 경주계림을 보면서 선경의 시상 주머니를 만지지 않을 수 없었다. 고읍인 계림은 지금까지 남겨진 유적지로 유명하고, 삼한은 청사에 빛나는 만년의 뿌리라라는 시심을 발휘했다. 김알지의 발견설화에 대한 우리들의 인식을 새롭게 해야 한다는 뜻을 담는다.
 시인을 대신한 화자는 신라는 천년 사직이었음을 생각하면서 찬란한 역사의 흔적이 경주계림 뿐만 아니라 첨성대 비롯한 찬란한 문화의 유적을 생각해 보인다. 찬란한 신라 문화는 광명으로 밝은 속에서, 이미 지난 당시의 일은 더욱 존경스럽다는 뜻을 밝히고 있다. 그렇다손치더라도 조선와조 다음으로 역사의 흔적이 많이 남아있는 곳은 경주의 천년 고읍을 빼놓을 수 없다.

【한자와 어구】
古邑: 고읍. 오래된 읍. 鷄林: 계림. 遺蹟元: 유적지로 유명하다. 곧 으뜸이다. 三韓: 삼한. 靑史: 찬란한 역사. 萬年根: 만년의 근본이다. // 新羅敎化: 신라의 교화. 光明裏: 빛나고 밝은 가운데. 往事: 지난 일들. 當時: 그 당시엔. 富益尊: 부하고 더욱 존경스럽다.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