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동마을에는 피와 살로 부모를 봉양한 효자 류계양과 그 부인을 기리는 쌍효려비가 있다. 한때 옥곡 5일시장이 이 마을 앞에서 섰으나 신금들 간척과 저수지 축조로 인해 이전한 것으로 전한다.

옥곡 5일시장에서 광영동 방향으로 나오면 다리 하나가 보인다. 이 다리가 장동교이며, 다리를 건너 마주한 마을이 바로 장동(莊洞)마을이다. 장동마을은 본래 광양현 동면 옥곡리 지역으로 추정되며 1789년경에는 광양현 옥곡면 장동촌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통폐합으로 장동리, 임천리, 장기리 지역을 병합하여 장동리(莊洞里)라 하였고, 1995년 장동리 지역의 곡동(谷洞)마을과 임천(林泉)마을이 합쳐져 현재의 장동마을이 됐다.

■ 쌍효려비
장동마을의 하나였던 곡동마을은 옛날 장기리지역이 포함되었는데 옛 구장터 서쪽 골짜기에 있는 마을로 골 안에 위치한다 하여 ‘골똠’으로 불렀던 것이 곡동(谷洞)이 되었다. 1830년경 전주이씨(全州李氏)가 처음 입촌하였다고 전하나 옛 장동촌과 옛 장터의 설촌연대를 참고하면 이 보다 앞서 마을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임천마을은 곡동마을의 뒷골 산등너머에 위치한데 1633년경 홍씨 성을 가진 사람이 처음 이곳에 정착하고, 이 마을 숲이 매우 좋다고 하여 임천(林泉)으로 하였는데, 1980년대 후반에 잠시 임촌(林村)이 되었다가 본래 마을이름 뿌리를 살려 임천(林泉)으로 다시 개청되었다.
하지만 1995년  동광양시와 광양군이 도농복합 형태의 광양시로 통합하면서 장동2리 지역 곡동(谷洞)마을과 임천(林泉)마을을 합쳐 장동마을로 새로 탄생하게 했다.
장동마을 입구에 들어서면 장동마을을 알리는 마을표지석이 보이는데, 여기에는 ‘예절의 고장’이라고 적혀 있다. 이것은 마을회관 바로 입구에 위치한 쌍효려비에서 그 연유를 알 수 있다.
장동 쌍효려비(雙孝閭碑)는 효자·효부에 대한 두 사람의 효행을 기리는 비(碑)로서, 고종29년(1892년) 조정에서 정려를 내리면서 동몽교관(童蒙敎官)의 증직을 받은 전주류씨 류계양(柳季養)과 숙부인(淑夫人)의 증직을 받은 해주오씨(海州吳氏)의 효행을 기리는 정려이다. 
류씨 부부는 아버지가 병이 들어 오래도록 침상에 누워 계실 때 효도를 다해 약이며 먹을 것을 직접 마련하고, 겨울밤이면 두세 번이라도 일어나 불을 지폈다. 하루는 아버지의 병세가 위급해지자 류씨는 손가락을 베어 피를 입에 넣어드리고 아내는 허벅지 살을 베어 보필하였다고 전한다. 고종29년(1892년) 조정에서 정려를 내렸지만 가세가 빈곤해 비를 즉시 세우지 못하다가 1929년 손자 오위장(五衛將) 류채규에 의해 건립됐다.

■옛 옥곡5일시장
예전에는 옥곡5일시장이 이 마을 앞 장동교에서 신금리쪽으로 섰었다. 장동교 하단부에서 지금의 삼각로 신호등까지 섰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현재의 옥곡시장으로 자리를 옮긴 것은 지난 1962년이다. 당시 이 마을 주변에 장기리라는 마을이 오랫동안 형성되어 있었다. 장기리는 지대가 낮아 식량자급을 위해 옥진들 간척사업을 추진했고 그에 따라 장동저수지를 축조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장터는 수해지구가 되어 물난리를 자주 겪게 되면서 1962년에 산요마을(현 시장통마을)로 시장을 이전했다. 한때는 시장터가 농지로 이용되었으나 도로 확포장공사로 옛 시장터가 도로로 편입돼 옛 시장의 흔적은 사라져 버렸다. 
또 이 마을에는 유명한 장동팽나무 전설이 전하여 오고 있으며, ‘당산들’이란 곳에는 옛날 마을 사람들이 화전놀이와 농악 등을 행했다고 전한다.

양재생 기자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