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 포항제철소 전경

고로 설비개선 내년 상반기 중 완료 예정…지역환경 개선 위한 친환경컨설팅 지원단 운영

 

 제철공정에서 고로의 블리더를 통한 고로 내부 가스배출이 청정설비를 거치지 않고 배출되어왔고, 이러한 배출이 법을 위반했다는 것이 고로블리더 논란의 핵심이었다. 이 문제가 가장 먼저 제기된 것은 포스코 포항제철소였다. 포스코 내부사정에 정통한 사람의 제보와 포항 KBS의 보도를 통해 이를 확인한 포항환경운동연합이 2019년 4월, 포스코를 행정당국에 고발하고 나서면서 고로 블리더 문제는 제철소가 소재한 광양과 당진으로 확산하면서 전국적인 환경이슈가 되었다. 
제철소의 정상공정에서는 고로가스가 청정설비를 거쳐 유해물질을 대부분 제거한 후 배출된다. 그러나 고로의 정기수리나 설비 사고로 인하여 보수를 해야 할 경우 일시적으로 가동을 멈추는 일이 있다. 이를 ‘휴풍’이라 하고, 휴풍 작업이 끝나면 다시 쇳물을 생산하기 위해 고로에 바람을 넣는 ‘재송풍’ 작업을 하는데, 이러한 휴풍과 재송풍 과정에서 고로 내부압력을 줄이기 위해 블리더를 통해 고로가스와 분진 등을 배출해 왔는데, 이러한 작업들은 그동안 사람들의 눈을 피해 일출 전 새벽과 일몰 후 심야 시간에 이뤄져 온 사실도 드러났다.
고로블리더 문제가 표면화된 후 충남도가 가장 먼저 현대제철에 대해 조업정지 10일의 행정처분을 단행했고, 전남도도 광양제철소에 조업정지 10일의 행정처분을 예고하고 나섰지만, 경북도는 꿈쩍도 하지 않았다.
이러한 미온적인 경북도의 태도에 대해 포항환경운동연합을 비롯한 환경단체들은 규탄성명을 발표하며 강력한 행정처분을 촉구했다. 
그러나, 고로에 대한 조업정지처분은 국내 제철산업의 생존과 직결될 수 있다는 우려들이 잇따라 제기됐다.
포항지역에서도 “조업정지만은 안된다”는 여론이 고조됐다. 실제로 고로에 대한 조업 정지가 현실화된다면 국내에서는 철강을 생산하지 못하게 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고, 이는 제철사는 물론 전후방 연관산업과 관련 협력사도 연쇄적으로 영향을 받으면서 막대한 경제적 손실과 지역 경제에도 심각한 악영향이 우려되는 상황이었다. 
사상 초유의 사태에 지역사회에서는 조업중단은 막아야 한다는 각계의 입장표명이 이어졌다. 포스코 역시 지자체와 도의원과 시의원, 사회단체 등 이해관계자들과 적극 소통하면서 고로 블리더 이슈에 대한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노력했다.

세미블리더 활용방안 해법 제시

포스코는 고로 블리더의 기술적인 개선을 위하여 2019년 5월부터 8월까지 Paul Wurth사와 대기오염물질 저감방안에 대한 기술용역을 수행했다. 현대제철이 다니엘코러스사와 수행한 기술용역과 비슷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용역의 결론은 “세미 블리더를 사용하는 방법이 최적”이라는 것이었다. 세미블리더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존 배관 및 밸브의 구경을 확대하면서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했다. 포스코와 PW사는 2019년 12월부터 고로 세미 블리더 확관 개선방안의 적용을 위한 상세 설계 및 설비 제작을 진행했고, 고로 개수 작업이 예정된 광양제철소 3고로를 대상으로 세미브리더 확관 및 보조배관 설치를 2020년 2월부터 추진했다. 신규 기술에 대한 공사를 진행하면서 세미블리더 활용시 휴풍에 따른 폭발과 화재 Risk를 제거하는 운전방법 등에 대하여 지속적인 검토와 보완을 추진하고, 안전성 검증 및 기술 개발이 완료되면 확대 적용하는 방향으로 진행한 것.
현대제철이 Danieli Corus사와의 협업을 통해 집진시설을 거쳐 별도의 배관을 통해 잔류가스를 배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이를 전체 고로에 순차적으로 확대 적용한 것과는 다른 방식이다. 현대제철이 적용한 방법은 세계적으로 최초로 적용된 방법이다. 
포스코 포항제철소의 이자명 환경자원그룹 리더는 “우리는 현대제철과는 상황이 다르다”고 전제하고, “현대제철을 벤치마킹해 설계를 진행하고 있는데, 오는 8월까지 시범설치를 테스트한 후 2022년 상반기까지 전고로에 설치를 마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단은 업계 자체적으로 설비개선을 통한 대기오염물질 저감방안을 도출하고, 적용단계에 들어섰다고 할 수 있다.

▲ 포항제철소는 고로블리더 논란 이후 고로 휴풍 등의 상황을 자체 전광판을 통해 지역주민과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사진은 포항제철소가 운영하고 있는 소통보드 모습.

지역 주민과 소통노력 강화

2019년 6월, 환경부는 고로블리더 문제 해결을 위해 민관협의체를 출범시켰고, 이 협의체에는 포항과 광양, 당진의 환경단체 활동가들도 참여했다. 포항지역에서 포항제철소의 고로블리더 문제를 앞장서 제기한 포항환경운동연합도 이 협의체에 참여했다.
2019년 6월 19일부터 8월까지 약 2개월동안 운영된 환경부 민관협의체는 브리더밸브 개방 시 오염물질의 종류와 수준, 외국의 운영사례 및 저감방안 등을 조사했다.
그리고, 이러한 활동결과를 토대로 업계는 블리더 밸브에서 배출되는 주요 오염물질인 먼지를 줄이기 위해 정기 보수의 작업절차 및 공정개선을 시행하고, 환경부는 블리더 밸브 개방 시 불투명도 기준을 설정하고 배출되는 먼지량을 사업장의 연간 먼지 배출 총량에 포함하여 관리하기로 했다.
민관협의체에서 확정된 저감방안에 따라 업계는 블리더 밸브 개방 시 개방일자, 시간 및 조치 사항 등을 인허가 기관(지자체, 유역·지방환경청)에 보고하도록 했다.
포항제철소 관계자는 “환경부 민관협의체에서 제시한 개선사항을 충실하게 이행하고 있다”며, “2019년 9월부터 휴풍 계획 및 실적을 이메일과 공문으로 관계기관에 보고하고 있으며, 2019년 12월부터는 휴풍 내용 및 환경부 TMS 측정망 결과를 제철소 전광판에 게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포항제철소는 2개의 자체전광판을 운영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고로의 휴풍과 관련된 정보를 지역사회와 공유하고 있다는 것.
이 역시 환경부의 권고사항이기도 하다. 이와는 별개로 포항제철소는 지역과의 소통을 위한 협의체 구성을 논의하고 있으며, 지역주민 초청 행사시 고로브리더와 관련된 진행사항을 지역사회에 적극 홍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환경부 민관협의체는 고로 휴풍시 연료로 사용되는 석탄가루(미분탄) 투입을 조기에 중단하고, 용광로 내 압력 조정을 위한 풍압을 낮게 조정하는 등 작업절차 개선을 통해 먼지 배출도 최소화 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포항제철소는 2019년 11월부터 미분탄 투입 중단을 기존 1시간 전에서 3시간 전으로 앞당기고, 픙압도 300∼800g/㎠에서 100∼400g/㎠으로 줄여 시행하고 있다. 또, 이해 12월부터는 미분탄 등 작업시간 기록관리 및 휴풍시 CCTV 영상 촬영을 이행하고 있다.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지침도 환경부 민관협의체를 통해 제시됐다. 업계에서는 제강시설에 대한 집진기 추가 설치와 열처리로 등에 대한 질소산화물 저감설비 설치, 코크스 원료 야적시설에 대한 밀폐화 조치 등을 이행하기로 한 것.
민관협의체가 제시한 이러한 저감조치에 따라 포스코는 2019년 9월 대기개선 TF 특별 조직을 구성하여 미세먼지 및 냄새 저감을 위한 1조원 수준의 대규모 환경개선 투자사업과 개선활동을 적극 추진하기로 하고, RIST와 협업하여 환경오염물질 저감 기술개발을 추진했다. 그리고, 이러한 환경개선 성과에 대해 2019년 12월 19일 포항시장, 시의장, 환경운동연합 등 200여명의 이해관계자에게 설명하여 포항시와 상생 발전하는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했다. 또, 제철소 인근 해도동, 송도동, 청림동, 제철동, 상대동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제철소 환경개선 현장을 직접 눈으로 보고, 체감할 수 있는 제철소 환경투어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개선실적을 공유하고 있다.
포항제철소 관계자는 “현재 원료야드장의 밀폐화는 18기의 밀폐화시설을 설치해 29%정도 진행됐고, 중장기적으로 밀폐화가 진행되고 있다”며, “소결 및 발전설비에 대한 질소산화물저감설비를 설치하고, 슬래그 야드장 합리화 공사도 포항시와의 협업을 통해 개선방안을 찾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 관계자는 “기업의 개선하겠다는 의지가 중요하다고 본다”며, “주민들이 불편해 하시는 사항들에 대해서는 의지를 갖고 적극적으로 실천해 나가고 있으니 조만간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지역사회에서도 이해하고, 기다려 주실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환경부 민관협의체에서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원료야드장의 밀폐화도 주요한 환경개선과제로 제시됐다. 포항제철소는 총 18기의 밀폐화사일로에 103만5천톤의 원료를 보관하고 있는데, 밀폐화 달성율은 현재 29% 수준이다.

지역환경 개선 적극 지원

한편, 포항제철소는 지난 2월 지역환경개선을 위한 ’친환경컨설팅 지원단’을 신설해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포항시와 함께 철강공단 내 14개 악취 발생 사업장을 대상으로 개선 협의체를 구성하고 포스코의 환경ㆍ설비ㆍ구매부서는 물론,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과 협력해 원인 규명부터 솔루션 제시까지 지역환경 개선에 동참한다는 계획이다.
지원단은 1단계로 포항제철소 7개 협력사와 공급사를 대상으로 우선 개선을 추진하고, 2단계로 포항시 생활 악취 유발 폐기물 처리 시설도 개선을 지원할 방침이다.
포스코는 악취 민원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악취 원인물질을 측정하고, 대기확산모델을 활용하여 발생원 추적 및 악취 영향의 정량적 평가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 업체별로 개선 로드맵을 수립하고, 원료반입부터 제품 반출까지 전공정에 걸친 환경진단, 개선방안 도출, 실행, 모니터링 순의 종합적인 개선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지원단의 1단계 활동으로는 주요 악취 배출 사업장 총 14곳 중 포스코와 연관된 협력사·공급사 총 7곳에 대해서 △저(低)악취 연·원료 대체, △원료 및 제품 관리수준 강화, △밀폐 강화 등 단순 정비를 통한 개선 등 단기적으로 개선이 가능한 부분부터 우선적으로 개선하고 악취관리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2단계로는 포항시에서 관리중인 폐기물 처리, 매립, 소각 등 민간 시설의 환경개선을 지원할 계획이다. 그외 추가적 오염발생원에 대해서도 포항시와 합동으로 발굴해 포항시의 악취 문제를 전면 해소에 나갈 방침이다.

황망기 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