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 희 구{시조시인・문학평론가 문학박사・필명 여명 장강 사)한국한문교육연구원 이사장}

        見牛(견우) 
                                          叙光 張喜久

        앵무새 한 쌍 날자 푸르름 볼 수 없고
        소와 말 깊은 숲속 휴식처가 여기인데
        단풍든 산과 들에서 채색하기 어렵구나.
        雙鶯飛上唱高聲    日暖祥光不見靑
       쌍앵비상창고성    일난상광불견청
        牛馬樹深休息處    楓山草木畵難成
        우마수심휴식처    풍산초목화난성

‘앵무새는 노래하고 푸르름을 볼 수 없네, 
깊은 숲속 휴식하니 그리기가 어렵다네’

 

십우도(十牛圖)는 수행자가 정진을 통해 본성을 깨달아 가는 과정을 잃어버린 소를 찾는 일에 비유해서 그린 선화(禪畵)로 그 과정을 10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세 번째 단계인 [견우(見牛)]는 동자가 멀리 있는 소를 발견했음을 묘사한다. 이는 오랜 노력과 공부 끝에 자기를 찾고 본성을 깨달음이 바로 눈앞에 다가왔음을 상징하고 있다. 진심으로 자신의 내면을 가만히 드려다 보는 과정이다. 앵무새 한 쌍 날며 고성으로 노래 부르고, 따뜻한 날 상쾌한 빛 비추나 푸르름을 볼 수 없다면서 읊었던 시 한 수를 번안해 본다.
단풍이 드는 산과 초목은 그림 그리기가 어렵다네(見牛)로 제목을 붙인 칠언절구다. 작자는 서광 장희구(張喜久:1945∼ )다. 위 한시 원문을 의역하면 [앵무새 한 쌍이 날며 고성으로 노래를 부르고 / 따뜻한 날 상쾌한 빛 비추나 푸르름을 볼 수 없네 // 소와 말 깊은 숲속에서 휴식함을 보니 / 단풍든 산과 초목은 그림 그리기가 어렵다네]라는 시상이다. 상상력은 시상의 밑바탕이 된다. 정리해 본 시주머니를 펼친다.  라는 화자의 상상력을 만난다.
위 시제는 [소의 자취를 발견하다]로 의역된다. 이 단계에서는 마음의 움직임이 비교적  또렷함을 느낀다고 한다. 이는 곧, [참 길을 찾는 방법]을 찾고자 마음을 잡았지만 이럴까 저럴까 혼재된 상태로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망설이는 단계라는 점을 알게 된다. 더 깊은 사색을 느끼게 된다.
 시인은 소를 찾기 위한 소년의 남다른 생각을 가엾게 여겼음을 알 수 있는 시상의 면면이 또렷하게 보인다. 앵무새 한 쌍이 비상하며 높은 소리로 노래 부르고, 따뜻한 날 상쾌한 빛이 비추지만 푸르름만은 볼 수 없다고 했다. 앵무새의 조잘거림이 따뜻한 날의 소묘에 흠뻑 취했지만 그늘에 가려 푸르름을 볼 수 없단다.
 화자는 비로소 소년이 소와 양의 모습을 보면서 은근하게 만족함을 보이는 모습을 보인다. 소와 말이 깊은 숲속에서 휴식하는 곳을 보니, 단풍든 산과 초목은 그림 그리기가 어렵다고 했다. 찾고자 하는 소의 모습에서 아직은 깊이 취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다.
 불가 선시禪詩 십우도에서는 [노란 꾀꼬리가 나뭇가지 위에서 지저귀고(黃鶯枝上一聲聲) / 햇볕 따사하고 바람 서늘한데 언덕 버들 푸르네(日暖風和岸柳靑) // 더 이상 이곳을 빠져서 나아갈 곳이 없나니(只此更無回避處) / 위풍당당한 쇠뿔만은 차마 그리기가 어려워라(森森頭角畵難成)]라고 했다.

【한자와 어구】
雙鶯: 앵무새 한 쌍. 飛上: 비상하다. 唱: 노래 부르다. 高聲: 높은 소리. 日暖: 날이 따뜻하다 祥光: 상서로운 빛. 不見靑: 푸른 빛을 볼 수 없다. // 牛馬: 소와 말. 樹深: 나무가 깊다. 休息處: 휴식하는 곳이다. 楓山: 단풍 든 산. 草木: 초목. 畵難: 그림을 그리다. 成: 이루어 내다.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