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 희 구{시조시인・문학평론가 문학박사・필명 여명 장강 사)한국한문교육연구원 이사장}

        得牛(득우) 
                                         叙光 張喜久

        심신을 겨우 다해 소를 때려 난동 제압
        날뛰어 도망가며 높은 산도 오르련지
        가만히 있지 못한 성격 끝내 그냥 같이 오네.
        竭力心身盡定渠    打牛亂動亦難除
        갈력심신진정거    타우난동역난제
        常時鬪走高峯上    莫執原來不勝居
        상시투주고봉상    막집원래불승거

‘도랑 개천 진정시켜 소의 난동 제압못해, 
날뛰면서 도망가고 가만있지 못한 성격’

 

십우도(十牛圖)는 수행자가 정진을 통해 본성을 깨달아 가는 과정을 잃어버린 소를 찾는 일에 비유해서 그린 선화(禪畵)로 그 과정을 10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네 번째 단계는 [득우(得牛)]로 동자가 소를 붙잡아서 막 고삐를 낀 모습을 묘사한다. 마음의 상태를 보긴 보았는데 마음이 아직은 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마치 땅 속에서 제련(製鍊)되지 않는 금광석을 막 찾아낸 것과 같은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심신을 다해 겨우 도랑 개천을 진정시켜서, 소를 때려 난동 제압하기 또한 어렵다면서 읊었던 시 한 수를 번안해 본다.
항상 날 뛰면서 도망을 가니 높은 산에 오르고(得牛)로 제목을 붙인 칠언절구다. 작자는 서광 장희구(張喜久:1945∼ )다. 위 한시 원문을 의역하면 [심신을 다해 겨우 도랑과 개천을 진정시켜서 / 소를 때려 난동을 제압하기가 또한 어렵다네 // 항상 날 뛰어 도망가니 높은 산에 오르려고 하고 / 원래는 가만히 있지 못한 성격을 잡을 수가 없네]라는 시상이다.  ‘화자’가 떠받친 반전은 시의 격을 높이는 큰 요채가 되고 있다.  라는 화자의 상상력을 만난다.
위 시제는 [소를 발견하다]로 의역된다. 속세의 삼독(三毒)에 물들어 거칠고 일순간의 탐욕을 다스릴 길이 없으므로 정진하고 공부에 힘써야 한다는 뜻이다. 아직 마음이 잘 잡혀지지 않는 상태다. '견성(見性)'은 상당한 잘못이다. 이는 곧, [참 나를 찾기] 위해 정진해서 공부하는 단계라고도 한다.
 시인은 마침내 기다리던 소를 얻게 되었다. 소가 난동을 부리는 무지함을 보면서 때려서 제압하려는 시상의 한 줄기를 만난다. 심신을 다해 겨우 도랑 개천을 진정시켜서, 소를 때려 난동을 제압하기 또한 어렵다고 했다. 그렇지만 어떻게든 이를 제압하여 자기 쪽으로 끌어 들이는 일이 더 시급함을 느낀다고 했다.
 화자는 소와 한 바탕 싸움과 같은 일이 벌어짐을 그대로 묵인할 수만은 없었다. 제압하여 다잡아야 한다. 항상 날 뛰어 도망가니 높은 산에 오르고, 원래 가만히 있지 못한 성격 잡을 수 없다고 했다. 산을 오르기도 하고 날뛰는 소의 특성을 잘 보인다고도 했다.
 불가 선시禪詩 십우도에서는 [내 정신을 다하여서 이제 이 소를 잡았으나(竭盡精神獲得渠) / 힘 세고 마음도 강성해서 다스리기 어렵네(心强力壯卒難除) // 어느 때 높은 고원 위에 버젓이 올랐다가도(有時裳到高原上) / 어느 때는 구름 깊은 곳에 들어가 머무르네(又入煙雲深處居)]라고 했다.

【한자와 어구】
竭力: 힘을 다하다. 心身: 마음과 몸. 盡定渠: 도랑 개천에서 진정시키다. 打牛: 소를 때리다. 亂動: 난동. 亦難除: 또한 제압하기 어렵다. // 常時: 항상. 鬪走: 날뛰다. 高峯上: 높은 봉우리 위. 莫執: 잡지 못하다. 原來: 원래. 不勝居: 성격을 잡을 수 없다.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