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 희 구{시조시인・문학평론가 문학박사・필명 여명 장강 사)한국한문교육연구원 이사장}

        騎牛歸家(기우귀가) 
                                        叙光 張喜久

        소 타고 채찍질로 귀가를 재촉하며
        옥피리 부르면서 넘어간 저녁노을
        화음을 어찌 사용할지 고향에서 맞는다.
        騎牛鞭打欲歸家    玉笛聲聽去晩霞
        기우편타욕귀가    옥적성청거만하
        一拍二歌無限志    和音何使故鄕牙
        일박이가무한지    화음하사고향아

‘돌아가려 했었으나 저녁노을 넘어가고 노래하니 
무한 뜻이. 화음 어찌 사용할 지’

 

십우도(十牛圖)는 수행자가 정진을 통해 본성을 깨달아 가는 과정을 잃어버린 소를 찾는 일에 비유해서 그린 선화(禪畵)로 그 과정을 10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여섯 번째 단계인 [기우귀가(騎牛歸家)]는 동자가 구멍 없는 피리를 불며 본래의 고향으로 돌아오는 모습을 묘사한다. 소는 흰색으로 동자와 일체가 되어 피안(彼岸)의 세계로 나아간다. 이제 얻고 잃은 것도 없이 소와의 모든 투쟁은 다 끝났다. 한 박자 치고 두 번 노래하니 무한의 뜻이고, 화음을 어찌 사용할 지 고향에서 맞이한다면서 읊었던 시 한 수를 번안해 본다.
옥 같은 피리 소리를 들으니 저녁노을이 넘네(騎牛歸家)로 제목을 붙인 칠언절구다. 작자는 서광 장희구(張喜久:1945∼ )다. 위 한시 원문을 의역하면 [소를 타고 채찍질하며 집으로 돌아가려고 했으나 / 옥 같은 피리 소리 들으니 저녁노을이 넘어가네 // 한 박자 치고 두 번을 노래하니 무한의 뜻이고 / 화음을 어찌 사용할 지 고향에서 맞네]라는 시상이다. 평설은 감상을 조정한다. 화자의 행동반경을 적절하게 안배한다.  라는 화자의 상상력을 만난다.
위 시제는 [소를 타고 깨달음의 세계인 집으로 돌아오다]로 의역된다. 이때 구멍 없는 피리에서 흘러나오는 소리는 육안으로 살필 수 없는 본성의 자리에서 흘러나오는 소리를 상징한다. 얻고 잃은 것도 없이 모든 투쟁은 끝났음을 알게 된다. 소 색깔은 많이 변했으나, '소'와 '자신'만이 남는다 것을 안다. 이는 곧, [거친 번뇌]는 제거 되었으나 [미세 망념]은 아직도 남는 상태를 말한다.
 시인은 긴장이 이완되면서 소를 잘 길들여져서 순하게 되어 집으로 돌아가는 풍악이 들리는 듯함을 안다. 소를 타고 채찍질하며 집으로 돌아가려 하지만, 옥 같은 피리 소리를 들으니 저녁노을 넘어간다고 했다. 모든 투쟁을 끝나고 행복이 약속되면서 귀가하는 순박한 모습이다.
 화자는 집으로 돌아가는 그 냄새가 진하다는 정경의 시상을 담아냈다. 한 박자를 치고 두 번 노래하니 무한의 뜻이고, 화음을 어찌 사용할 지 고향에서 맞이한다고 했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은 감격에 벅찼을 것이다.
 불가 선시禪詩 십우도에서는 [소 타고 유유하게 집으로 돌아가노라니(騎牛迤麗欲還家) / 오랑캐 피리소리 저녁놀 실려 가고 있네(羌笛聲聲送晩霞) // 한 박자 한 곡조 한량없는 뜻인가 했더니(日拍一歌無限意) / 곡조 아는 이라고 더는 말할 필요 있을까(知音何必鼓唇牙)]라고 했다.

【한자와 어구】
騎牛: 소를 타다. 鞭打: 채찍질 하다. 欲歸家: 집으로 돌아가고자 하다. 玉笛: 옥피리. 聲聽: (옥피리)소리를 듣다. 去晩霞: 저녁노을이 넘다. // 一拍: 한 박자 치다. 二歌: 두 번 노래하다. 無限志: 무한의 뜻이다. 和音: 음이 화하다. 何使: 어찌 사용하다. 故鄕牙: 고향을 맞이하다.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