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 희 구{시조시인・문학평론가 문학박사・필명 여명 장강 사)한국한문교육연구원 이사장}

        忘牛存人(망우존인) 
                                          叙光 張喜久
        소 타고 녹수 청천 기상이 한가하고
        낙싯대 창죽 삼간 잃어버린 소 생각
        한 조각 풀과 창 사이 맴을 돌고 있구나.
        忘牛已到故鄕山    綠水靑天氣象閒
        망우이도고향산    록수청천기상한
        蒼竹三竿忘牛想    片思惟在草窓間
        창죽삼간망우상    편사유재초창간

‘소를 타고 고향 산천 녹수산천 한가하고, 
잃어버린 소의 생각 풀과 창에 맴을 돌고’

 

십우도(十牛圖)는 수행자가 정진을 통해 본성을 깨달아 가는 과정을 잃어버린 소를 찾는 일에 비유해서 그린 선화(禪畵)로 그 과정을 10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일곱째 단계의 [망우존인(忘牛存人)]은 집에 돌아와서 살펴보니 그동안 애쓰며 찾던 소는 그만 잊어버리고 자기만 혼자 남아 있음을 묘사해 보인다. 본래의 자기 마음을 찾아 나와 하나가 되었으니 굳이 본성에 집착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라 했다. 소를 타고 이미 고향 산천에 도착하니 , 녹수 청천에 기상이 한가하기만 하다면서 읊었던 시 한 수를 번안해 본다.
한 조각 생각이 풀과 창 사이에서 맴도네(忘牛存人)로 제목을 붙인 칠언절구다. 작자는 서광 장희구(張喜久:1945∼ )다. 위 한시 원문을 의역하면 [소를 타고 이미 고향 산천에 도착했더니 / 녹수 청천에 기상이 한가하기만 하구나 // 푸른 대나무 삼간 낚시대를 잊어버린 소를 생각함이오 / 한 조각의 생각이 풀과 창 사이에 맴을 돌고 있네]라는 시상이다. 서문격 여덟 줄 초입문장은 이 글의 요점이자 가이던스가 된다..  라는 화자의 상상력을 만난다.
위 시제는 [소를 잃고 안심하다]로 의역된다. 곧 '참 나'를 찾으려는 것을 비롯해 그 모든 것이 다 꿈이었음을 안다. 비로소 그 꿈에서 부스스 깨어나게 된다. 이제 모든 것은 둘이 아니라 하나임도 안다. 주위의 모든 번뇌를 잊고 자신을 냉정하게 돌아볼 수도 있다. 이는 곧, [주체적인 자신]만이 있을 뿐임을 암시한다.
 시인은 소를 잘 훈련시켜 막상 집에 도달했지만 다시 소를 잃어버리는 순환을 겪게 되지만, 모든 자연이 한가하기만 하다는 시주머니를 상대에게 보여서 흔든다. 소를 타고 이미 고향 산천에 도착하니, 녹수 청천에 기상이 한가하기만 하다고 했다. 다음에 이어질 다시 소를 잊어버릴 수를 예감하지 못하는 희망에 불타있다.
 그렇지만 화자는 다시 허탈에 빠지면서 오직 하나 임을 직감하게 된다. 푸른 대나무의 삼간에 낚시대를 잊어버린 소를 생각이오, 한 조각 생각이 풀과 창 사이에 맴돌고 있다고 했다. 주변을 모두 다 잊고 오직 주체적인 혼자라는 사실을 인지한다.
 불가 선시禪詩 십우도에서는 [소를 타고 이미 고향에 도착하였으니(騎牛已得到家山) / 소도 공(空)이고 사람까지도 한가롭다네(牛也空兮人也閒) // 붉은 해 높이 솟아 여전히 꿈꾸는 것 같고(紅日三竿猶作夢) / 채찍과 고삐는 띠집 사이 그대로 놓여있네(鞭繩空頓草堂間)]라고 했다.

【한자와 어구】
忘牛: 잃은 소. 已到: 이미 도달하다. 故鄕山: 고향의 산. 綠水: 푸른 물. 靑天: 파란 하늘. 氣象閒: 기상이 한가롭다. // 蒼竹: 푸른 대. 三竿: 세 개의 장대. 忘牛想: 소를 잃어버렸음을 생각하다. 片思: 한 조각의 생각. 惟在: 오직 있다. 草窓間: 풀과 창의 사이.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