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 희 구{시조시인・문학평론가 문학박사・필명 여명 장강 사)한국한문교육연구원 이사장}

시인은 시를 읊어가면서 흥취를 찾아 내고

        淸明禮讚(청명예찬) 
                                         叙光 張喜久

        동풍 불어 떠난 제비 초가집 돌아오고
        시인은 시를 읊어 흥취를 찾아내니
        농부는 씨 뿌려 놓고 논밭에 옮겨심네.
        東風燕子草家回   大地春光燦爛開
        동풍연자초가회   대지춘광찬란개
        詞伯吟詩尋興趣   農夫播種亦移栽
        사백음시심흥취   농부파종역이재

‘동풍연자 초가 돌고 봄빛 대지 찬란하네, 
시를 읊은 시인 흥취 농부들은 씨뿌리며’

 

‘청명’은 ‘춘분’과 ‘곡우’ 사이에 들며 양력 4월 5일경이다. 태양의 황경이 0도에서 돌아 15도 위치에 있을 때다. 청명은 식목일과 겹치고, 한식 하루 전날이거나 때로는 같은 날이 될 때도 있다. 농가에서는 청명을 기하여서 봄 일을 시작하므로 이 날은 특별한 의미를 부여했다. 동국세시기에서는 대궐에서 느릅나무와 버드나무에 불을 일으켜 각 관청에 나누어 주었는데 이것은 주나라 이래 행하는 제도란다. 시인은 시를 읊으면서 흥취를 찾아내고, 농부는 논밭에 씨를 뿌리면서 옮겨 심는다면서 읊었던 시 한 수를 번안해 본다.
시인은 시를 읊어가면서 흥취를 찾아내고(淸明禮讚)로 제목을 붙여본 칠언절구다. 작자는 서광 장희구(張喜久:1945∼ )다. 위 한시 원문을 의역하면 [동풍이 부니 제비는 초가집으로 돌아오고 / 봄빛은 대지에 찬란히 열리는 중이로구나 // 시인은 시를 읊으면서 흥취를 찾아내고 / 농부는 논밭에 씨를 뿌리면서 옮겨심고 있구나.]라는 시상이다. 상상력은 시상의 밑바탕이 된다. 정리해 본 시주머니를 가만히 펼쳐냈더니.  라는 화자의 상상력을 만난다.
위 시제는 [청명을 예찬하며]로 의역된다. 청명과 한식이 비슷하여 ‘한식에 죽으나 청명에 죽으나 매일반’이라는 속담도 있다. 청명은 새롭게 불을 나누어 주는 ‘사화(賜火)’를 행한 날이며 본격적인 농사 준비를 한다. 이날 날씨가 좋으면 한 해 농사가 잘된다는 믿음 때문에 특히 좋은 날씨가 되기를 기대했다고 한다.
 시인은 청명을 기하여 제비가 서두르는 모습을 보면서 초가집도 생각하는 시상을 꺼냈다. 동풍이 서서히 부니 제비는 초가집으로 돌아오고, 봄빛은 대지에 찬란하게 열리고 있는 중이라고 했다. 날씨가 맑은 하늘을 보면서 온 대지가 약동하는 그런 모습을 은연하게 꺼낸 시심이다.
 화자는 이와 같은 때에 시를 읊지 아니할 수 없었음이란 시통 주머니를 가만히 꺼낸다. 시인들은 시를 읊어가면서 시적인 흥취를 찾아내고, 농부는 논밭에 씨를 뿌리면서 옮겨심는다고 했다. 그렇지만 시주머니는 아직도 조금은 모자랐을 것이다.
 청명을 5일씩 나누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초후에는 오동나무가 비로소 꽃을 피우게 되고, 중후에는 밭을 후비는 들쥐가 메추리로 화하게 되고, 말후에는 언덕 위 물가에서 무지개가 보이는 계절이라고 했다. 청명 삼후의 원문은 다음과 같다. [淸明의 三候에는 初候桐始華하고 中侯田鼠化爲鴽하며 末候虹始見이라] 했다.

【한자와 어구】
燕子: 제비. 草家回: 초가집을 빙빙 돌고 있다. 春光: 봄빛. 燦爛開: 찬란하게 열리다. // 詞伯: 시인: 吟詩: 시를 읊다. 尋興趣: 흥취를 찾다. 播種: 씨를 파종하다. 亦移栽: 또한 씨를 뿌리며 옯겨 심다. / 桐(동): 오동나무. 田鼠(전서): 들쥐. 鴽(여): 메추리. 虹(홍): 무지개.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