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 희 구{시조시인・문학평론가 문학박사・필명 여명 장강 사)한국한문교육연구원 이사장}

        驚蟄禮讚(경칩예찬) 
                                         叙光 張喜久

        삼동에 숨은 벌레 감흥이 펼쳐지고
        사계절 순환하는 행동엔 변함없네
        장래의 아름다운 절기 야화로 이어지리.
        三冬地蟄醒長眠   萬物蘇生感興宣
        삼동지칩성장면   만물소생감흥선
        四季循環行不變   將來佳節野花連
        사계순환행불변   장래가절야화연

‘땅 속 벌레 긴 잠 깨고 만물 소생 감흥 펼쳐, 
계절 순환 변함없고 절기 야화 이어지리’

 

‘경칩’은 ‘우수’와 ‘춘분’ 사이에 들며 양력 3월 5일경이다. 태양의 황경이 345도의 위치에 있을 때다. 경칩이 돌아오면 겨울잠을 자던 동물들이 깨어나 꿈틀거린다. 개구리들은 번식기인 봄을 맞이하여 물이 괸 곳에 알을 까놓는데 이 알을 먹으면 봄을 보호한다고 해서 경칩일에 알을 먹는 풍습이 있었다고 한다. 경칩날에 보리싹 성장을 보아 그 해 농사의 흉풍을 예측하기도 했다고 한다. 사계절이 순환하는 행동에는 변함이 없을 것이니, 장래의 아름다운 절기엔 야화野花가 이어지겠다면서 읊었던 시 한 수를 번안해 본다.
사계절이 순환하는 행동에는 변함 없으리니(驚蟄禮讚)으로 제목을 붙인 칠언절구다. 작자는 서광 장희구(張喜久:1945∼ )다. 위 한시 원문을 의역하면 [삼동에 땅 속에 숨었던 벌레가 긴 잠을 깨고 / 만물이 소생하니 감흥이 오래 펼쳐지네 // 사계절이 순환하는 행동에는 변함 없으리니 / 장래의 아름다운 절기엔 야화가 이어지리]라는 시상이다. 상상력은 시의 몸통과 같다. 시인의 맑고 고운 상상력을 들춘다.  라는 화자의 상상력을 만난다.
위 시제는 [경칩을 예찬하며]로 의역된다. 경칩에 고로쇠나무에서 나오는 수액을 마시면 위장병이나 성병에 효과가 있다고 해서 약으로 마셨다. 우수 경칩이라 했듯이 비를 맞고 겨울잠에서 깨어나오는 동물들이 꿈틀거림과 동시에 또 다른 약진을 탔을 것으로 보인다.
 흔히 삼동이라고 했다. 시인은 우수 경칩에 긴 겨울잠에서 소생하는 동물들 생장이라는 시상을 만졌0다. 삼동에 땅 속에 숨었던 벌레가 긴 잠을 깨고 일어나, 만물萬物이 소생하니 시적인 감흥이 오래 펼쳐진다고 했다. 이것이 봄의 꿈틀거림이다. 겨울이 꼬리를 감출까, 봄이 얼굴을 내밀까 망설이는 계절이기도 하다.
 화자는 계절의 엄숙한 순환 앞에 거역할 수 없는 자기 소회를 후정으로 펼쳐 보인다. 사계절이 순환하는 자연의 행동에는 변함이 없으리니, 장래의 아름다운 절기에는 야화野花가 이어지겠다는 시심이다. 짐승들의 행동에 이어 꽃들도 덩달아 속삭임을 예상하고 있다.
 경칩을 5일씩 나누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초후에는 봄이 되었으니 복숭아꽃이 비로소 피고, 중후에는 꾀꼬리가 사방에서 울기 시작하며, 말후에는 매 새끼가 점차 커서 비둘기로 변하는 계절이라고 했다. 경칩 삼후의 원문은 다음과 같다. [驚蟄의 三候에는 初候桃始華하고 中侯倉庚鳴하며 末候鷹化爲鴝이라] 했다.

【한자와 어구】
地蟄: 땅 속에 숨다. 醒長眠: 긴 잡을 깨다. 蘇生: 소생하다. 感興宣: 감흥이 펼쳐지다. // 四季: 사계절 循環: 순환하다. 行不變: 행동엔 변함이 없다. 佳節: 좋은 계절. 野花連: 들꽃이 이어지리라. / 桃(桃): 복숭아. 倉庚(창경): 꾀꼬리. 鷹化爲鴝(응화위구): 매 새끼가 커서 비둘기가 되다.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