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유마을은 옛날 주물과 체를 만들었던 마을로 사점촌이라고 불리었다. 사진은 마을전경과 마을회관, 순흥안씨 안몽윤 재실, 소나무 보호수 등이다.

광양읍에서 옥곡으로 가는 국도를 따라 가다보면 왼쪽에 터널을 지나야만 연결되는 선유마을이 나온다. 선유마을은 뒤편에 광양 산행으로 유명한 국사봉이 있어 마을 전체가 산으로 둘러싸인 듯 따뜻함을 자아낸다. 마을 안쪽 도로변에 위치한 약 200년 된 소나무도 이 마을의 자랑거리다.

■ 체(篩)를 만들었던 고장
선유마을은 옥곡면 선유리에 속한 마을로 선유리는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당시 상선리(上仙里), 하선리(下仙里), 오류리(五柳里)를 병합할 때 상선의 ‘선’과 오류의 ‘류’를 따서 선유리(仙柳里)라 한 것이다. 선유마을도 이 선유리의 이름에서 왔다.
하지만 선유마을의 유래를 알기 위해서는 이전의 옥곡면 상선마을과 중선마을, 하선마을의 유래를 알아야 한다. 상선·중선·하선마을이 합쳐져 지금의 선유마을이 되었기 때문이다.
선유마을은 본래 사점촌(篩店村)이라는 마을로 불리었는데, 사점촌(篩店村)은 토박이 우리말인 체점의 한문식 이름으로, 옛날 이 고을에서 체(篩)를 만들었던 고장이었음을 반증하고 있다.
상선은 중선지역에 신선이 피리를 부는 선인취적혈(仙人吹笛穴)의 명당이 있었다는 전설에서 유래된 말로 중선(中仙)의 명당자리를 기준하여 위쪽에 위치한다하여 상선(上仙)이라 하는데 이보다 앞선 옛 이름은 관용에 따라 웃체점이라고도 부르며 중선(中仙)은 가운데 위치한다 하여 중선 또는 가운데 체점이라고 했다. 또 하선은 중선의 아래쪽에 위치한다하여 하선이라 했으며, 아랫체점 또는 새터몰 등으로 불리었다. 
이 마을의 특이지명으로 통점골이 있는데, 통점골은 마을 남쪽에 위치한 골짜기로 옛날 쇠를 불리어 주물을 만들던 통점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이곳 통점골에서 한때는 토금이 나오기도 했다고 한다.

■순흥안씨 안몽윤 재실
선유마을에는 유명한 재실이 있다. 마을회관에서 마을의 보호수 방향으로 올라가다보면 곧바로 도로변에 위치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순흥안씨 안몽윤의 영정을 모시고 있는 재실이다. 약 200년 전부터 이 마을에 제실을 세워 영정을 모셨는데 1948년에 현재의 장소로 이축하였다. 현재 순양군 영당과 문간 3곳 총 5채가 해송나무로 건립되어 있다. 
후손들의 이야기로는 왜정시대에는 의사 안중근과 가까운 친척이 되어 감시가 심하자 대밭 속에다 담장으로 가리고 영정을 모셨으며, 해방이 되자 이곳 도로변으로 이축하였다고 전한다.
순양군 안몽윤은 1571~1650년 경기도 용인사람으로 음보로 군직에 나가 임진왜란시 왜군토벌에 참여했고 그 후 무과에 급제하여 옥구현감, 안동판관 등의 외직을 거치면서 일을 잘 처리하여 함안군수로 승진되었다. 이괄의 난과 서울 안현 싸움에 큰 공을 세워 진무공신 3등으로 순양군에 봉해졌으며 전라수사, 경상우병사 등을 거쳐 포도대장, 지중추부사를 역임하였다.
영정을 이곳에 모신 이유는 안몽윤의 후손들이 당파싸움에 밀려 경남하동의 청학동으로 피신, 거주하다가 약 200년 전에 이곳으로 정착하게 되었는데 그 당시 피신 오면서 영정을 가져왔다고 전한다. 그 후 후손들이 매년 3월 한식날과 음력 9월 9일 2차례에 걸쳐 이곳에서 제를 지내고 있다.

양재생 기자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