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그룹이 창립 54년만에 지주사인 포스코홀딩스를 출범시키며 제2의 창업을 선언했다. 포스코홀딩스의 본사를 서울 포스코센터로 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포스코 본사가 위치한 포항시를 비롯한 경북지역 전체가 이에 반발하며 본사의 포항유치를 주장하고 나섰다. 여기에 대통령선거를 앞둔 정치권에서도 포스코홀딩스의 본사를 서울에 두는 것에 반대하고 나서자 결국 포스코는 지난 달 25일 포스코홀딩스 본사를 포항에 두기로 결정했다. 이와 더불어 그룹의 미래성장을 견인할 핵심조직인 미래기술연구원 본원도 포항에 두기로 했다.
포스코그룹의 지주사 설립 결정이 알려지자 포항지역은 지난 1월 부시장을 단장으로 하는 TF팀을 결성하고, 국장급을 반상으로 하는 전담팀을 구성해 적극 대응하는 한편, 이강덕 포항시장이 청와대 앞에서 1인시위를 하는 등 포스코홀딩스의 포항유치를 요구했다. 이와 더불어 지주사의 포항이전을 요구하는 시민서명운동에 돌입했다. 이러한 지역사회의 압박과 정치권의 압력에 따라 포스코홀딩스는 결국 포항에 본사를 두기로 했다. 반면 광양의 대응은 늘 한발 늦었다. 2월 들어서야 지주사 출범에 따른 지역상생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하고 지난달 25일에야 범지역사회가 참여하는 상생협력협의회가 출범했다. 그러나, 포스코가 참여하지 않는 지역상생협의회는 반쪽짜리 협의회일 수 밖에 없다.

 

 

 

광양제철소는 포항제철소와 더불어 포스코의 핵심생산기지다. 한적한 어촌이었던 광양이 전남제1의 산업도시로 발돋움한 것은 광양제철소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그동안 광양지역민들은 광양제철소의 발전이 광양의 발전이라고 생각하면서 포스코의 발전을 위해 많은 것을 내어주면서 묵묵히 참아왔다. 개발에 따른 필연적인 환경피해를 감내하고, 삶의 터전을 내어준 광양사람들의 희생을 발판으로 포스코 광양제철소는 단위제철소로 세계 최대규모의 제철소로, 그리고 세계 제1의 자동차강판 전문제철소로 성장했다. 그리고, 포스코의 영업이익 과반 이상을 창출해 주었다. 물론 기업의 성장과 더불어 지역도 성장했다. 기업과 지역의 관계는 갈등과 대립이 아닌 상생의 관계일 때 그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비록 포항에 비해 20여년정도 광양이 늦었다 하지만, 광양사람들이 포스코를 위해 감내한 불편과 희생의 크기는 결코 포항에 뒤지지 않는다. 하지만 광양은 늘 뒷전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으면서도 지역을 위한 제대로 된 요구를 못해왔고, 이번 지주사 출범에서도 그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

 

 

 

포항은 지주사 본사와 미래기술연구원 본원을 확보하는 실리를 챙겼다. 물론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노력과 요구가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그러나, 광양은 지주사 출범으로 자회사로 위상이 격하된 광양제철소가 예정된 투자를 제대로 할 것인가부터 걱정하는 처지에 이르렀다. 기업의 투자여력은 한계가 있다. 지주사 본사와 미래기술연수원 본원 유치라는 실리를 챙긴 포항은 미래신산업의 포항지역 집중투자도 요구하고 있다. 포스코의 미래 신산업은 이차전지와 수소산업 등 말 그대로 미래먹거리를 만들어 가는 산업으로 광양과 광양만권은 국내 어느 지역보다 뛰어난 입지여건을 갖추고 있다. 이제 광양도 포스코에 당당하게 요구해야 한다. 기업이익의 과반 이상을 올려주는 광양제철소가 자체 구매권도 갖고있지 못한 것이 현재 광양의 현실이다. 이런 토대하에서 어떻게 동반발전이 가능하겠는가? 차제에 지역 기업들이 포스코 관련 사업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구매제도부터 개선할 필요가 있다. 포스코도 지역과의 진정한 동반성장을 바란다면 광양과 포항의 균형있는 발전전략을 재검토해야 한다. 목소리만 크다고 항상 옳은 것은 아니니까.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