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망기 편집국장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역사적인 남북 정상회담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한반도의 4월 전쟁위기설이 나돌던 것이 불과 2~3개월 전이었다.
그렇지만, 2018년의 4월은 평화를 여는 4월이 될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한다.
선거를 앞두고 열리는 역사적인 회담마저 국가와 민족의 명운은 생각하지 않고 노골적으로 실패하기를 기대하는 세력들이 있다.
그리고, 그들의 목소리는 보수 언론을 통해 확대 재생산되고, 회담의 성과가 나오기도 전에 가이드라인을 정해두고 자신들이 설정한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쇼일 뿐이라고 폄훼하기 위한 밑밥이 만들어지고 있다.
선거를 통한 권력은 한시적이지만 민족과 국가의 운명은 권력의 부침과 상관없이 영원한 것이다.
70여년에 걸친 분단을 평화적으로 극복하기를 모든 국민이 한마음으로 응원해야 마땅하지만 눈앞의 선거결과에 연연해 이마저 정쟁의 도구로 삼는 세력들을 역사는 엄정하게 기록할 것이다.
 
 
저출산, 고령화는 우리 사회가 직면한 가장 큰 문제이다.
인구를 늘리기 위한 지역간 경쟁은 일자리를 유치하기 위한 경쟁으로 이어지고,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 저마다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노력한다.
기업의 투자를 유치하는 것이 지역 일자리를 만들어내고, 일자리는 사람을 모으게 되기 때문이다.
사람이 모이면 자연 경제는 활성화되고 지역을 활기를 되찾게 된다.
그러기에 민선 단체장들은 저마다 기업하기 좋은 도시를 선거 때마다 공약으로 내걸고 있다.
기업하기 좋은 도시, 혹은 기업친화적인 도시의 개념은 무엇일까?
기본적으로 규제가 없고, 기업 활동에 대한 시민들의 이해 높고, 또 기업이 필요로 하는 자본과 인력을 조달하기 좋은 도시가 기업하기 좋은 도시라 할 것이다.
공장을 짓기 위한 인프라가 잘 갖춰진 산업단지도 필수적이다.
전남도내에서 가장 기업의존도가 높은 도시의 하나인 광양시 역시 기업하기 좋은 도시를 내세우고 있다.
산업의 기초소재가 되는 철강과 석유화학공단이 인접해 있고, 전력과 용수, 항만 등 교통여건도 좋은 편이다.
그렇지만 광양이 기업하기 좋은 도시라는데 선뜻 동의하는 기업인은 많지 않은 것 같다.
공장을 지으려고 하면 공해유발기업이라며 시민단체와 시 당국까지 나서서 반대를 하고, 기업이 투자를 하려고 하면 기업의 수요와 상관없는 지역에 공장을 지으라고 강요하는 것이 현실이다.
여기에 또 하나, 주민들의 기업에 대한 정서도 꼭 우호적인 것만은 아니다.
대규모 투자사업이 추진될 때마다 ‘결사반대’라는 붉은 머리띠를 두른 시위대를 쉽게 볼 수 있다.
 
거창한 명분을 내세우지만 대부분 개인, 혹은 작은 집단의 이익을 위해 전체를 위한 기회를 날려버리거나 희생을 강요하는 사례는 쉬 찾아볼 수 있다.
물론, 전체를 위해 개인의 희생을 강요하는 논리는 정당화될 수 없다.
더우기 욕심 때문에 공동체의 희생을 강요하는 것은 용납될 수 없다.
힘있는 자들의 이익을 위해 공동체가 희생해야 하는 경우가 있지만, 진실은 언제나 드러나게 마련이고, 역사는 그러한 욕심에 대해 평가할 것이다.
지역을 위한다는 거창한 명분으로 정작 지역을 망친 사례는 얼마나 많았는지 되돌아 보았으면 한다.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