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피해조사활동 실시 경험… 농부로 인생2막 시작

여순사건 70주년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진상규명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다만 이제는 그 진실에 보다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졌고, 그 전보다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지난달 26일 시청대회의실에서 ‘여순항쟁 70주년 시민 토론회’에 발제자로 참여해 여순사건에 대한 역사적 평가가 이제는 제대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토로하는 김정태 前 시의원을 만나 이야기를 들어본다.
 
■여순사건 이란?
여순 사건은 해방이 되고 정부가 수립 된지 두 달여 뒤인 1948년 10월 19일 저녁, 여수에 주둔하고 있던 국방경비대 제 14연대에서 제주도 봉기(제주 4.3사건) 진압 명령을 거부하고 무장봉기를 일으킨 사건을 말한다. 
김 前 의원은 “이때 14연대의 봉기가 발생하자 정부는 반란군토벌전투사령부를 광주에 설치하고 당시 주민들을 반군을 색출한다는 명목 속에서 무력이 행사됐는데 그러면서 억울한 희생자들이 많이 발생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 사건은 국가 권력에 의해 무고한 양민이 희생된 사건인데, 7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 김 前 의원의 전언이다.
김 前 의원은 2003년부터 여순사건을 비롯한 한국전쟁 전후 광양지역 민간인 피해 조사 활동을 실시했다. 
그때 당시 그는 광양시 참여연대 소속이었는데, 회원들과 함께 각 마을을 찾아다니면서 피해자 가족들의 이야기를 들었다고 한다. 이것이 민간인 피해자 조사의 시발점이 됐다.
당시 문서화된 자료는 아무것도 없어 서로의 기억들만 가지고 조사를 시작했다고 김 前 의원은 덧붙였다.
 
■여순항쟁 특별법 제정 시급
김 前 의원은 “여순 사건은 70년이 지난 지금도 해결되지 않은 가슴 아픈 역사이며, 하루라도 빨리 여순항쟁 특별법이 속히 제정 돼 진상규명 및 희생자에 대한 명예회복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서 지역사회의 논의를 넘어 전국적으로 사건이 공론화 되고 많은 시민들이 기억하고 추모행사에도 참여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 김 前 의원의 설명이다.
김 前 의원은 “여수지역에서는 현재 ‘여수 지역사회연구소’ 주관으로 여순항쟁을 조사하고 있는데, 여수는 이미 시의 예산을 받아 진행하고 있다”며, “광양시에서도 시의회 조례안이 본안까지 통과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 前 의원은 무엇보다 한명의 피해자도 빠짐없이 희생자를 추모하고 명예를 회복하는 일을 위해 끝까지 함께 할 것을 다짐했다.
 
■노력하는 마음으로 책장을 넘기다
김 前 의원은 현재 농사일로 인생 2막을 열었다. 하지만, “세상에 쉬운 것은 하나도 없다는 말을 농사일을 통해서 실감한다”고 말한다. 
쉽게만 생각했던 농사일이 처음에는 적응이 안돼 고생을 많이 했다는 것.
김 前 의원은 “아직까지도 농사일을 그렇게 잘 한다고 할 수 없지만 이제는 조금은 달라지지 않았을까요?”라고 반문한다.
그러면서 그는 “모든 일에 있어 노력하지 않으면 그만큼 어려워지고 도태되는 것 같다”며 “항상 연구하고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그는 요즘 철학책과 역사책을 보면서 인생의 가치에 대해 다시 배운다고 덧붙였다.
 

 

양재생 기자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