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순항쟁 70주년 기념사업회가 주관한 시민공감 토론회가 지난 25일 시청 회의실에서 열렸다.
최근 여순사건 당시 민간인 희생자들의 진실규명과 명예회복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지난달 25일 광양시청 대회의실에서 ‘여순항쟁 70주년 기념사업 시민 공감 토론회’가 개최됐다.
여순항쟁 70주년 기념사업 광양위원회(공동대표 정영기·유현주)가 주관한 이번 토론회는 여순사건 특별법 제정 촉구와 여순사건에 대한 진실을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토론회에는 여순사건 광양유족회, 순천유족회, 지역시민단체, 시민 등 150여명이 참석했으며, 여순사건 연구가인 주철희 박사와 김정태 前시의원의 주제발표로 진행됐다.
주철희 박사는 “항쟁과 반란의 경계에 있는 여순사건을 이제는 여순항쟁으로 불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 박사는 “사건이라는 단어는 역사적 용어가 아니다. 임진왜란, 임오군란, 갑신정변, 동학 농민운동 등 어디에도 사건이라는 용어는 찾아 볼 수가 없다”며, “여순사건이라고 부르면 여순항쟁을 ‘역사’로 보지 않는 것과 같다”고 역설했다.
주 박사는 반란이 아닌 이유에 대해서도 설명을 했다.
반란행위가 성립되려면 현 권력자를 축출하거나 주체세력은 정부요직 및 군사 고위 지휘자가 되어야하며, 새로운 권력자를 미리 결정해 놓고 계획 구체성 및 철저한 준비가 필요한 게 요건인데, 여순항쟁은 여기에 맞는 부분이 전혀 없어 반란과는 무관하다는 것.
이에 반해 항쟁이라는 말은 ‘지배권력의 부당한 억압 또는 불법적 행위에 대한 집단적 대중적 실천’이기에 여순사건은 반란이 아니며 여순 항쟁으로 불러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설명했다.
주 박사는 “자랑스런 역사든 부끄러운 역사든, 역사는 있는 그대로 밝히고 정리해 나가야 한다”며 “특히, 국가권력에 의해 저질러진 잘못은 반드시 정리하고 넘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법과 제도를 통해 역사적 진실을 규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람들이 그 역사를 제대로 기억하고 인식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이 주 박사의 전언이다.
주철희 박사에 이어 김정태 前시의원은 ‘한국전쟁 전후 광양의 여건과 피해 상황’에 대해 주체발표를 했다.
김 前시의원은 “한국전쟁 이후 여순항쟁을 포함한 광양지역 민간인 희생자가 612명에 달한다”며 “이러한 수치는 광양이 여순사건의 영향권에 포함된 지역을 뜻하며, 결코 적지 않은 희생자의 수”라고 지적했다.
이어 직․간접 관련자들의 연령을 고려하면 추가 조사사업의 시기는 최대한 앞당겨져야 할 시급한 문제라는 것이 김 前시의원 설명이다.
아울러 김 前시의원은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피해 관련 장소의 정비·관리·보존 대책 수립이 필요하며, 아픈 역사를 치유하여 시민화합을 도모하고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는 위령탑 설치 등 추모사업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기에 여순사건 특별법 제정과 여순사건 피해자 지원을 위한 광양시의회의 조례 제정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한편, 지난 24일 제274회 광양시의회 임시회에서 백성호 의원이 대표 발의한 ‘광양시 여순사건 등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위령사업 지원에 관한 조례안’이 총무위원회 심의를 통과한 바 있다. 본안이 최종 통과되면 당시 무고한 민간인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한 법적 근거도 마련된다.
 
양재생 기자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