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동안 광양항의 활성화가 지역민의 기대에 못미치다 보니 시민단체는 물론, 지자체도 광양항에 대한 관심을 내려놓고 있다.”
‘통일시대에 대비한 광양항의 대응전략’ 토론회에서 좌장을 맡은 순천대 김명수 명예교수의 말이다. 지난 2일 열린 이 토론회에서 토론자들은 한결같이 지역사회의 관심이 광양항 활성화의 가장 큰 관건이라고 입을 모았다. 
광양만신문이 주관한 이 토론회에 참석한 정인화 국회의원은 축사를 통해 “광양항 활성화를 위해 국회 차원에서 예산 확보 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으며, 김성희 광양시의회 의장은 “남북 관계 발전과 더불어 우리 시와 광양항은 새로운 도약의 발판을 만들고 한반도 발전의 구심체가 되어 세계로 뻗어나가는 초일류 물류항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명수 교수는 “오늘날의 부산을 가능케 한 80%는 부산항에서 비롯됐다”며, 지역경제에서 항만이 차지하는 비중을 강조하며, “광양항 활성화가 광양시는 물론 지역과 지방을 발전시키는 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모두들 항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광양시를 철강과 항만의 도시라고 하지만, 정작 광양의 산업에 있어 항만의 비중은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 산업구조 역시 철강관련 산업이 광양의 경제를 주도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세계 최대 규모의 단위제철소가 있는 광양시 입장에서 철강산업의 중요성은 강조할 필요도 없지만, 특정산업에 의존하는 지역경제의 취약성은 군산이나 거제의 경우에서 익히 보아왔다.  광양항이 기대만큼 활성화되지 않는다고 광양항의 가능성과 희망마저 버릴 수는 없다. 

광양항과 관련된 최근 논의에서 가장 현실적이고 시급한 과제는 배후단지 확대 지정이다. 이 같은 문제는 2일 토론회에서도 집중적으로 제기됐다.
현재 광양항 배후단지는 387만㎡에 50개사가 입주해 있다. 부산신항의 배후단지는 419만㎡에 67개사가, 인천항의 배후단지 170만㎡에는 30개사가 입주해 있다. 정부계획에 따르면 오는 2030년까지 광양항 배후단지는 11만㎡를 추가로 개발하게 된다. 이는 부산항배후단지 426만㎡를 추가개발하고, 인천항의 배후단지 512만㎡를 개발하겠다는 개발계획과 비교할 때 터무니없이 부족하다. 해양수산부는 지난 8월, 광양항을 자족형 화물창출형 항만인 아시아의 로테르담으로 개발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를 위해서는 화물을 창출할 배후단지가 무엇보다 중요하지만 정작 광양항 배후단지 확대 개발은 외면하고 있는 모순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전남도가 나서 해수부에 배후단지 확대지정을 건의하고 있다. 해수부의 산하기관인 여수광양항만공사 입장에서는 누구보다 배후단지 확대가 절실하지만, 상급기관의 눈치를 볼 수 밖에 없는 처지다.
결국 지역사회와 지자체가 나서야 하지만, 광양항에 대한 관심이 떨어진 것을 반증이라도 하듯 별다른 움직임이 없다.
박형배 광양상의 사무국장은 “광양시민들은 여전히 광양항에 대한 희망을 내려놓지 않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지만, 희망만으로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광양항 활성화의 과실은 광양시민의 것이고, 전남도민과 전국민의 것이다. 그 시발은 지역에서 비롯되어야 한다. 그러기에 지난 2일 토론회에서 광양시장의 부재는 아쉬움을 남겼다. 시장의 부재가 광양항에 대한 광양시의 무관심의 소산이 아니길 기대할 수 밖에.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