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 희 구{시조시인・문학평론가 문학박사・필명 여명 장강 사)한국한문교육연구원 이사장}

        彈琴臺(탄금대) 
                                         叙光 張喜久

        잔설이 남아 있는 회색빛 충주 광야
        소나무 그늘 아래 옛 향기 열어보네
        가야금 열 두 줄 소리 탄금각이 울리고.
        殘雪忠州廣野灰   長江巖畔古香開
        잔설충주광야회   장강암반고향개
        老松蔭下彈琴閣   十二絲聲律唱嵬
        노송음하탄금각   십이사성율창외

‘충주 광야 회색빛에 암반 향기 열어보네,  
노송 그늘 탄금각엔, 열두 줄의 가야금을’

 

삼국사기에 우륵은 가야 사람으로 나라가 어지러워지자 가야금을 가지고 신라에 귀화했고 전한다. 진흥왕이 기뻐하여 우륵을 충주에 거주케 하고는 신라 청년 중에서 법지·계고·만덕을 뽑아보내 악樂을 배우게 했다. 우륵은 이들의 능력을 헤아려 각기 춤과 노래와 가야금을 가르쳤다 한다. 그는 이곳을 우거지로 삼고 가야금을 타니, 그 미묘한 소리에 사람들이 모여들었는데. 이에 탄금대라 불렀다. 시인은 잔설이 남아있는 충주 광야는 회색이고, 긴 강과 암반은 끼친 향기를 열어 보인다면서 읊었던 시 한 수를 번안해 본다.
가야금 열 두줄 소리 담아서 높이 율창을 했네(彈琴臺)로 제목을 붙인 칠언절구다. 작자는 서광 장희구(張喜久:1945∼ )다. 위 한시 원문을 의역하면 [잔설이 남아있는 충주 광야는 회색빛이고 / 긴 강과 암반은 끼쳤던 옛 향기를 열어보이네 // 늙은 소나무 그늘 아래에는 탄금각이 있고 / 가야금 열 두줄 소리를 담아서 소리 높여 율창을 하네]라는 시상이다. 상상력은 시의 몸통과 같다. 시인의 맑고 고운 상상력을 들춘다.  라는 화자의 상상력을 만난다.
위 시제는 [탄금대를 둘러보면서]로 의역된다. 임진왜란 당시 도순변사 신립申砬이 8,000여명의 군졸을 거느리고 와서 배수진을 치고 왜장의 군대를 맞아 격전을 했던 전적지이다. 신립은 전세가 불리하여 패하게 되자 천추의 한을 품고 강에 투신자살했단다. 탄금대 북쪽 남한강 언덕에 열두대라고 하는 100척이나 되는 절벽이 있는데 신립이 전시에 12번이나 오르내리며 활줄을 물에 적시어 쏘면서 병사들을 독려했다고 하는 곳이 이곳이기도 하다.
 임진왜란의 역하는 숱한 슬픈 사연을 지나고 있다. 진주성의 결전적인 싸움, 논개가 왜장을 끌어안고 투신했던 시연 등등 7년 전생의 비화들이 나라를 구할 수 있었다. 시인은 이런 점을 생각하면서 잔설이 남아있는 충주 광야는 회색빛이고, 긴 강과 암반은 끼친 향기를 살며시 열어보인다고 했다. 잔설이 남아있는 광야라고 했으니 아직은 봄빛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었음을 떠올리는 계절임을 알게 한다.
 남한강과 달천이 합류하는 지점에 자리한 나지막한 탄금대는 풍광이 매우 아름답다고 한다. 화자는 달천에 야트막하게 누워있는 늙은 소나무 그늘 아래에는 탄금각이 있고, 이곳에서 가야금 열 두 줄의 소리로 높은 소리를 내가면서 율시 창 한마당을 멋지게 했었다는 시상에 젖고 만다. 어디 그것이 율과 려로 어울러진 한 곡 뿐이었겠는가.

【한자와 어구】
殘雪: 잔설. 녹지 않는 눈. 忠州: 충북 충주. 廣野灰: 넓은 들은 회색빛이다.  長江: 긴 강. 巖畔: 암반. 古香開: 끼친 옛 향. // 老松: 달천에 비스듬한 늙은 소나무. 蔭下: 그늘 아래. 彈琴閣: 탄금각. 十二絲聲: 열구줄의 소리. 律唱嵬: 율시 창. 수함경미로 되어 있는 8줄 한시 창(嵬:높을 외).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