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 희 구{시조시인・문학평론가 문학박사・필명 여명 장강 사)한국한문교육연구원 이사장}

        居七賢洞(거칠현동) 
                                           叙光 張喜久

        깊은 산 정선 고을 칠현동 숨은 정기
        아라리 제창한 곳 간절하게 기도하며
        자손들 부귀한 경사 대대로 이어지리.
        佳節陽春活氣尤   深山旌善七賢遒
        가절양춘활기우   심산정선칠현주
        哦羅里曲先創地   代代孫孫富貴烋
        아라리곡선창지   대대손손부귀휴

‘양촌 향기 좋은 계절 정선 고을 칠현동을, 
아라리 곡 제창한 곳 자손 부귀 경사롭게’ 

 

거칠현동은 백이산을 품에 안은 모양새다. 역성혁명이었지만 이씨 조선이 건국되고 고려가 나라를 잃게 되자, 고려의 충신인 채미헌 전오륜, 수은 김중한, 도충제 고천우, 존암 이수생, 황의용 신안, 변귀수, 김위 등 칠현이 불사이군의 절개를 지키어 이곳에 숨어살았다. 이들은 산정에 올라 고도(古都)를 망배하며 통곡해 망국의 한을 한시로서 달래니, 이 시가 인근에 전해져 '정선아라리'의 시초다. 시인은 좋은 계절 양춘에 활기는 더욱 일어나고, 깊은 산 정선고을 칠현동 있어 찾아왔다면서 읊었던 시 한 수를 번안해 본다.
불사이군 의리는 영원히 아름답다하리(居七賢洞)로 제목을 붙인 칠언절구다. 작자는 서광 장희구(張喜久:1945∼ )다. 위 한시 원문을 의역하면 [좋은 계절 양춘에 활기는 더욱 일어나고 / 깊은 산 정선 고을에 칠현동 있어 찾아왔네 // 아라리 곡 먼저 제창한 곳에서 간절히 기도하면서 / 대대로 이어진 자손들이 부귀하니 경사스럽기만 하구나]라는 시상이다. 시상 주머니를 열면서 시인과 대화하듯이 시심의 세계를 들춘다. 라는 화자의 상상력을 만난다.
위 시제는 [거칠현동을 찾아서]로 의역된다. 후세 사람들이 7현이 살던 곳을 거칠현동이라 이르고, 이들이 고사리를 뜯으며 소요하던 산을 백이산(佰夷山)이라 이름하면서 전해온다. 이렇게 하여 이곳에서는 숨어 살던 선비들이 노래한 ‘누가 내 뜻을 알아주리오’ 라는 뜻에서 ‘아라리’가 되었다는 전설을 갖고 있다고 보아질 때, 실제로 이곳 사람들은 지금도 이것을 이르러 ‘정선아라리’라고 부른다. 민간에 유행한 노래로 주목된다.
 시인은 정선 아리랑에 대한 전설적인 슬픈 이야기를 간직하면서 이곳을 찾아 풍성한 시상을 일으키고 있다. 그래서 좋은 계절 양춘에 활기는 더욱 일어나고  깊은 산 정선 고을 칠현동 있어 찾아왔다고 했다. 칠현거사들이 비통한 심정을 율시(律詩)로 지어 부르던 것을 사람들에게 풀이하여 감정을 살려 부르게 한 것이 오늘에 전해 지고 있는 아리랑 가락이란다.
 화자는 그 후에 기근과 폭정에 시달리는 민초들에 의하여 즐겨 불리어 왔음을 찾는다. 시인의 입을 빌은 화자는 아라리 곡 먼저 제창한 곳에서 기도하면서 대대로 이어진 자손이 부귀하니 경사스럽다고 했다. 이와 같은 노래는 오늘과 같이 아리랑 아리랑 하는 음률을 붙여 부르게 된 것은 흥선대원군 시절 경복궁을 중수하던 때부터라고 하는 것도 이해는 할 수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

【한자와 어구】
佳節: 좋은 계절. 陽春: 양춘. 活氣尤: 더욱 활기차다. 深山: 깊은 산. 旌善: 정선골. 七賢遒: 칠현동을 찾아오다. 다가서다.. // 哦羅里曲: 아라리곡. 곧 아리랑 노래. 先創地: 먼저 제창하다. 代代: 대대로. 孫孫: 자손들이, 富貴烋: 부귀하니 경사스럽다.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