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은 그동안 다른 경제활동에 비해 경제적 파급효과가 적은 것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재정지원이 필요한 분야로 그 자체로 파급효과가 큰 산업으로 인식되지 못하여 늘 다양한 담론과 논의가 이어져 왔다. 하지만 최근 문화예술의 가치와 잠재력은 낙후된 도심의 시민들의 삶과 질의 향상과 도시경쟁력을 갖추는 원천이라고 말해도 과하지 않을 만큼의 지역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그래서인지 최근 도심의 낙후된 건물과 도로 등의 변화뿐만 아니라 커뮤니티 재활과 삶의 질, 지역공동체의 활성화 등의 관심을 담아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문화기획자와 문화창작자가 턱없이 부족하며 지역에서의 지원조차 전무하다. 문화예술교육과 정책, 문화예술 축제, 공연, 및 전시 기획, 지역문화 기획 및 운영 등 문화기획 전문 인력이 하고 있는 역할은 단순히 경제적 평가나 정량적 평가의 수치로 따진다면 그 보다 어리석은 일은 없을 것이다. 문화예술은 경쟁이 아닌 놀이라는 형식으로 사람들의 고단한 생활 속에서 자신이 누구이며 무엇을 좋아하고 사람과 사람이 어울려 연대하게 하는 힘을 만들어 준다. 우리는 대도시에 살고 있던 시골에 살고 있던 충분히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가며 모두가 마음을 열어 살맛나는 공동체 속에 하나하나가 모여 새로운 장르의 이야기를 펼칠 수 있는 자리를 만들어 가는 것이다. 문화가 삶의 질 향상 뿐 아니라 여가, 휴식 등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은 많은 이가 공감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 사회는 그 공간 속에, 그 마을에 있는 문화기획자와 문화창작자 들을 지켜나가기 위해 어떤 노력은 하고 있을까? 광양에서도 도시재생사업으로 많은 자본이 유입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지역에 있는 문화기획자와 창작자들을 위한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낙후된 구도심의 빈 상가와 빈집의 저렴한 임대료는 예술가들이 모여들어 그곳만의 재미있는 문화를 형성했던 서울의 홍대주변과 신촌, 부산의 광복로와 경성대 부경대 근처는 한 가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예술가들이 구도심으로 들어오면서 해당 지역의 고유한 특성이 형성되었지만 그 지역의 유동인구가 증가하면서 대규모 상업자본이 들어서면서 해당 지역의 특성을 잃었다는 것이다. 임대료 상승으로 지역을 발전시킨 예술가들과 중소상인의 이탈로 생겨난 정체성 상실이라는 현실에 직면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문화기획자와 창작자들의 머릿속 독특한 아이디어와 창의성, 감성을 지속 가능하게하기 위해서는 지역문화 전문 인력 양성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 문화산업 총 매출액이 2007년 기준 586147억 원인 것으로 총 수출액도 전년보다 13.3% 증가한 155539만 달러, 산업 종사자수도 5.1% 증가한 458910명으로 각각 조사되었다. (문화산업통계조사 결과)이와 같이 문화산업의 중요성이 가시화되고 있는 현시대에 지역의 문화 전문 인력 양성을 통해 지역의 예술성, 심미성, 쾌적성, 경제성을 확보 인적 인프라를 구축하고 생활 및 활동 네트워크를 구현하는 것으로 지역주민에게 매력적이고 즐길 수 있는 도시공간과 지역의 독특한 느낌을 줄 수 있는 도시를 만들어갈 수 있다.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