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승마을은 세승교차로 우측에 인접한 마을로 덕례리 무선마을과 등을 지고 있다. 사진은 위에서부터 마을전경, 당산나무, 마을회관, 마을정자, 효열부 김씨지비, 표지석 순이다.
세승마을은 세승교차로 우측에 인접한 마을로 덕례리 무선마을과 등을 지고 있다. 사진은 위에서부터 마을전경, 당산나무, 마을회관, 마을정자, 효열부 김씨지비, 표지석 순이다.

세승마을은 광양읍 덕례리에서 세풍으로 가는 고갯길을 넘으면 나오는 세승교차로의 우측에 위치한 마을이다. 마을 앞 도로는 신두마을 및 해두마을은 물론 순천 신대지구와도 연결되어 있어 지척을 이루며 마을 뒤로는 금슬봉을 등지고 덕례리 무선마을과 인접해 있다.

■마을 유래

세승마을은 본래 광양현 남면(南面) 인덕리(仁德里)지역으로 추정되며 1700년대 초기 이후에는 인덕면(仁德面)에 속했다. 1789년 호구총수에는 인덕면 세승촌(細繩村)으로, 1872년 광양현 지도에는 인덕면 세승리(細升里)라 했다. 

세승마을은 약 420년 전에 청주한씨(淸州韓氏)에 의해 마을이 처음 형성됐다고 전하는데, 본래의 마을은 지금의 위치가 아닌 옆 골짜기인 외얏골에 있었다고 한다. 

외얏골은 시내의 중심에서 벗어난 지역이어서 붙여진 이름으로 추정되며, 마을을 옮긴 것은 그 당시 돌림병인 호열자(虎列刺:콜레라)가 만연했기 때문이라고 전한다.

세승마을이라는 이름 유래는 1789년 호구총수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처음에는 세승(細繩)이라고 했으며, 그 이후 세승(細升)과 세승(世承)으로 변화되었다. 

당시 변화된 과정을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맨 처음의 이름인 세승(細繩)은 마을이 외얏골에 위치했을 때 마을 형국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한문으로 쓰기가 쉽지 않아 좋은 의미로 마을 이름이 변천되어 온 것으로 짐작된다. 

한편 세풍이라는 지명은 세승마을의 앞글자인 ‘세’와 신두마을의 옛 이름인 신풍마을의 ‘풍’자를 조합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마을 유산과 특이지명

세승마을은 세승교차로 사거리에서 커브만 틀면 곧바로 마을로 들어설 수 있으며, 그 길을 따라 조금만 올라가면 마을회관이 나온다. 

마을회관 앞에는 정자나무가 있고, 안쪽으로 조금 더 올라가면 조선시대에 만든 것으로 보이는 오래된 우물이 나오는데 언제 형성됐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마을의 문화유산으로는 마을 동제(洞祭)가 있었다. 산신에게 제사 지내는 산신제(山神祭)로서 들당제와 날당제를 따로 지내 왔다고 한다. 

또 ‘진등’으로 가기 전 도로변에는 김서운남(金瑞雲南) 열부의 행적을 기리는 효열부 김씨지비가 있다.

여기서 ‘진등’은 세승마을로 들어가는 또 다른 입구를 이루는 동산의 이름이다. 

한때 소나무가 울창해 동네 아이들의 놀이터로 손색이 없었다고 한다. 이후 재난 등을 겪으면서 소나무가 많이 소실됐고 지금은 이곳에 마을정자가 세워져 마을주민 쉼터로 이용되고 있다. 

진등에 있는 소나무는 마주보고 있는 신두마을의 선황비 기운이 마을로 침범하는 것을 막기 위해 심었다고 전한다.

또 마을 북쪽 산길을 ‘무선잇재’ 또는 ‘무선재’라고 부르는데 세승마을과 광양읍 덕례리 무선마을을 이어주는 고갯길이다. 

장날이 되면 해두과 신두, 세승마을 주민들은 광양읍으로 가기 위해 이 길을 통해 갔다고 전한다. 

동화작가 정채봉도 친가와 외가를 오갈 때 이 재를 넘었다고 하며, 해방후 격동기를 겪으면서 죄 없는 민간인이 군경에 의해 학살된 아픔을 지닌 곳이기도 하다. 

양재생 기자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