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창마을은 ‘돌고지’라는 옛 이름 아래 세곡을 저장하던 창고가 있었던 마을이다. 사진은 마을전경, 마을게시판, 마을정자, 마을회관, 당산나무, 정미소 등이다.
해창마을은 ‘돌고지’라는 옛 이름 아래 세곡을 저장하던 창고가 있었던 마을이다. 사진은 마을전경, 마을게시판, 마을정자, 마을회관, 당산나무, 정미소 등이다.

해창마을은 세풍리의 한 마을로 부흥마을과 신촌마을 사이에 자리해 있다. 세풍 간척지에서의 우수한 쌀 재배로 마을에는 정미소가 여러 군데 있으며, 한때 광양우산농악과 함께 광양의 양대 농악으로 불릴 만큼 명성이 자자했던 해창매구가 있다.

■조창

해창마을은 본래 광양현 남면(南面) 인덕리(仁德里) 지역으로 추정된다. 1700년 초기 이후에는 인덕면(仁德面)에 속했고 1789년에는 인덕면 해창촌(海倉村)이라 하여 문헌상 처음으로 마을이름이 나타났다. 적어도 이때부터 이곳이 세곡을 보관하고 운반했던 지역으로 추정된다.

1912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인덕면 해창리(海倉里)라 했으며, 이후 1917년에는 광양면 세풍리(世豊里)에 속하게 됐다. 현재는 자연마을인 해창과 봉정, 중몰 등을 통틀어 해창이라 불리고 있다. 

해창마을은 오(吳)씨와 임(林)씨가 제일 먼저 입촌했다고 전하며 그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적어도 1789년 이전에 이 지역에 이미 마을이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해창마을의 옛 이름은 ‘돌고지’인데 이곳에 조(組)를 넣어두는 조창(組倉)이 생긴 후 '해창(海倉)으로 바뀌었다. 

해창(海倉)이란 바닷가에 세곡(稅穀)을 보관·운송하는 역할을 하는 지역을 의미한다. 

조창(組倉:해창)은 처음에는 골약동 황방에 있었다하나 쌀이 쉽게 썩어서 풍수지리에 따라 적지(適地)를 물색하던 중 이 지역을 지명했다고 하며, 이곳 조창은 조선말 무렵에 철거되었는데 한일합방 등의 혼란 속에서 읍인(邑人)들이 창고 터를 고성(固城)사람인 김씨에게 팔아 지금은 김씨 선산이 되었다고 전한다. 

지금은 초석 일부만 노출되어 있을 뿐 흔적을 찾기 어렵다.

‘돌고지’란 크고 작은 바위를 비켜서 집을 지었기 때문에 이리가고, 저리가고 돌고 돌았다 하여 돌고지란 이름이 되었다고 전한다.

■세시풍속과 당산나무

해창마을에는 유명한 당산나무가 있다. 팽나무로서 수령은 약 420년 됐다. 이 마을에서 열리는 당산제는 음력 정월 초이튿날 밤에 열리는데 제사를 치르기 위해서 제주, 제사음식, 농악놀이 등 형식이 아닌 구색을 갖춘다. 제주는 동네에서 유고가 없는 사람으로서 1주일 전에 산에 황토 흙을 파다가 당산나무 옆에 있는 천하대장군(20여 년 전에 없어졌음) 곁에 흙을 깐 다음 그 후로 제사의식을 마칠 때까지 밖에도 나갈 수 없고, 누구하고도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

그동안 제주는 술을 빚을 때와 밥을 지을 때 2번 목욕재계를 하며 이때만큼은 마을의 공동우물을 덮고 사용하지 않는다. 

제사음식은 보통제사 음식과 같으나 만들어진 제사음식을 제를 지내기 전에 쥐가 먹으면 바로 죽는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초이튿날밤 제사의식이 행해지고 제사가 끝나면 나무아래에 도끼로 구멍을 판 다음 제사 음식을 묻음으로서 제사는 일단락 되어지며 그 다음날인 초사흘날 흥겨운 농악놀이가 펼쳐진다.

이곳 당산나무인 팽나무는 4월 중 잎이 한꺼번에 피면 옛날에는 그 해에 벼 이종(移種)을 한번에 마치고 괴질이 인근에 만연할때는 마을을 수호해 주십사하고 당산제를 정성껏 모셨다고 한다. 임진왜란시는 광양 용강의 마로산성과 순천 해룡 신성의 왜성사이의 전초지역으로 마을 주민들이 복색을 입고 꽹과리를 치면서 당시 세 군데 당산나무를 돌고 돌아 우리 관군의 수와 세를 과시하고 전세를 북돋웠다고 전해온다.

양재생 기자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