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마을은 문헌에 전해오는 증자포가 있었던 마을로 ‘신선이 춤을추는 마을’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사진은 위에서부터 마을전경, 김학섭 효려비, 마을회관,마을쉼터, 마을입구 인덕천위 다리이다.
무선마을은 문헌에 전해오는 증자포가 있었던 마을로 ‘신선이 춤을추는 마을’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사진은 위에서부터 마을전경, 김학섭 효려비, 마을회관,마을쉼터, 마을입구 인덕천위 다리이다.

무선마을은 광양보건대학교 뒤편 에 자리한 옥녀봉 산비탈에 자리한 마을이다. 마을 남쪽에 세풍리 세승마을로 이 어지는 산길이 나오는데, 이 길은 ‘무 선잇재’ 또는 ‘무선재’라고 불린다.

마을은 한때 광양보건대, 한려대학 교가 들어서 있다는 이유에서 대학 마을로 불리기도 했다.

■신선이 춤을 추는 마을

무선마을은 본래 광양현 남면(南 面) 인덕리(仁德里)지역으로 추정되 며 1700년대 초기에는 인덕면 지역 에 속했다.

1789년 호구총수에 인덕면 무선 촌(舞仙村)이라 하여 국가주요문헌 에 처음으로 마을이름이 나타났다.

무선마을은 김해김씨(金海金氏) 와 광산김씨(光山金氏)가 처음 들어 와 마을을 형성했다고 전하나 입촌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고 약 300년 전으로 추정하고 있다.

무선(舞仙)이라는 이름 유래는 마 을의 왼쪽산이 북뫼(北山), 오른쪽 골짜기는 짓대골(짓대는 북을 치는 기구를 말함)이니 자연히 중간에 위 치한 마을은 춤을 추는 곳에 해당하 여, ‘신선이 춤을 추는 마을’이라는 의미로 무선(舞仙)으로 불리게 됐다.

마을은 광양읍 덕례리에서 세풍리 로 넘어가기 전 인덕천을 지나는 무 선길에 있는 작은 다리를 건너면 시 작된다.

광양읍 덕례리 입구에서 마을 앞을 가로질러 무선쟁이를 넘어 율천산단 으로 오가는 4차선 도로가 2003년 도에 개통되면서 광양-여수간 교통 편익에 크게 기여하는 한편 마을주 변의 모습도 크게 변화되었다.

■무선마을 관련 특정지명

마을로 들어서면 한쪽 어귀에는 마 을의 당산나무가 나온다. 이 당산나무는 귀목나무인데 수령 이 200년 가까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당산나무 아래에는 말(馬) 무덤 이 있는데, 주인을 위해 죽은 말을 장 사지내고 큰 무덤까지 만들어주었다 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당산나무 바로 뒤편에는 김학섭 (金學攝)의 효행을 기리기 위한 효려 비(孝閭碑)가 돌담에 싸여 있다.

조정에서 정려를 내렸는데 서기 1856년에 증손 김윤규(金允珪)가 정 려를 세웠다고 한다. 김학섭(金學攝) 효려비를 지나 조 금만 올라가면 마을회관이 나오며, 마을회관 앞에는 마을쉼터가 마련돼 있다.

또 그 앞에는 무선마을이 2016년 농어촌 새뜰마을사업에 선정돼 주민 들의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는 안내 판이 세워져 마을을 소개하고 있다.

무선쟁이로 가는 북쪽 들 가운데에 는 ‘동멧동’이라는 등성이 있으며, 북 같이 생겼다고 하여 ‘북멧등’이라고 도 불린다.

한편 이 마을에는 예부터 문헌에 전하여 오는 징짓개(증자포)가 있었 는데 광양 ~ 율촌산단간 도로가 생 기면서 그 흔적이 사라져 버리고 말 았다고 한다. 징짓개는 회암마을의 도치바구 남 쪽에 있었다는 포구로 일명 증자포 (曾子浦)로 불리었다.

양재생 기자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