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기마을은 옛날 물이 맑고 산세가 좋아 ‘숲골’이라고 불렸던 마을이다. 사진은 위에서부터 마을전경, 마을회관, 벅수(정승), 노인정, 우산각, 표지석 순이다.
임기마을은 옛날 물이 맑고 산세가 좋아 ‘숲골’이라고 불렸던 마을이다. 사진은 위에서부터 마을전경, 마을회관, 벅수(정승), 노인정, 우산각, 표지석 순이다.

임기마을은 사라실예술촌에서 옥룡으로 넘어가는 길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로 쌍백마을을 지나면 나온다. 마을 입구에 마을을 지키는 벅수(장승)가 세워져 있어 쉽게 마을을 찾을 수 있다.

■마을의 지명유래

임기마을은 본래 광양현 동면(東面) 사라곡리(沙羅谷里)지역으로 추정되며 1700년대 초기이후에는 사라곡면(沙羅谷面)에 속했고 1789년경 호구총수에는 사곡면(紗谷面) 두곡촌(杜谷村)지역이었다.

1872년 광양현 지도에 임동리(林洞里)라 하여 처음으로 문헌상 기록이 나타나는데, 전하는 이야기로는 옛날 죽림과 사곡을 합하여 사라실(紗羅室)이라 했는데 풍수지리상 옥녀봉(玉女峰)의 옥녀가 용강리 베틀머리의 베틀로 비단을 짤 때 이곳이 작업실이 된다는 이유에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한다. 

직동(織洞)과 면동(綿洞)도 이러한 연유로 유래된 이름이다.

임기마을은 영천이씨(永川李氏)가 약 700여년 전에 물이 맑고 산세가 좋아 정착했다고 전한다. 

마을이름은 예부터 숲이 울창하다는 뜻에 연유된 이름이라고 전하나 본래 이름인 임동(林洞)은 ‘숲골’이라고도 불렀는데 ‘큰마을’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임기 서북쪽에서 옥룡면 율천리로 가는 고개를 먹뱅이재라고 하는데, 옛날 사곡과 옥룡면민들의 주요 교통로였으며, 옥룡에서 임기마을에 소재한 서당에 공부하러 오는 학동들이 넘어 다녔다고 전한다. 수목이 울창해 한낮에도 컴컴하여 붙여진 지명이며 ‘목댕이재’라고도 부른다.

■벅수제와 낙호재

임기마을은 벅수(장승)에 제사 지내는 ‘벅수제’가 이어져 오고 있다. 벅수가 도둑과 질병으로부터 마을을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한다고 마을주민들은 믿었다. 

벅수는 타지에서 들여온 디딜방아 틀을 깎아서 만들었으며 소원을 이루게 해주는 신(神)으로 믿어졌는데, 애 못 낳는 아낙네들이 벅수의 일부를 잘라서 몸에 지니기도 하면서 벅수의 코와 귀가 잘리는 수난을 여러 차례 겪었다고 한다.

1974년에 2개의 벅수 중 여장부가 없어지는 일이 발생했는데 이해에 소(牛)들이 잇달아 죽자 마을주민들은 여장부가 없어졌기 때문이라고 했다고 전한다. 그만큼 벅수를 마을의 수호신이라 생각한 것이다. 현재도 마을 입구 표지석이 있는 길가에는 벅수가 양쪽에 서서 마을을 지키고 있다. 

임기마을은 약 50년 전까지만 해도 훈장이 기거하면서 학동들을 가르쳤던 낙호재(樂乎齋)라는 서당이 있었다. 이 서당은 당시 지역 내에서도 유명해 광양읍은 물론 옥룡, 골약 등지에서도 학동들이 몰려와 이곳에서 수학했다고 한다.

마을지명에 불뭇골(풀무골)과 소드랑골(솥의 안이라는 뜻)이 있는데 이곳 지명과 관련해 주민들은 오래전부터 ‘이제 달군 쇠를 식힐 물만 있으면 불뭇간(대장간)의 격(格)을 다 갖추게 된다’는 말을 했다고 한다. 이와 관련해 일제 때 저수지 축조계획이 수립됐으나 매몰될 논 주인의 반대로 계획이 취소되어 그 후 저수지가 사곡리 점동마을에 세워졌다고 전한다.

양재생 기자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