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석마을은 돌고개 동쪽에 위치해 동돌고개로 불렸다. 사진은 위에서부터 마을전경, 옥현마을 비석바구, 당산나무, 마을쉼터, 마을회관, 이정표 순이다.
동석마을은 돌고개 동쪽에 위치해 동돌고개로 불렸다. 사진은 위에서부터 마을전경, 옥현마을 비석바구, 당산나무, 마을쉼터, 마을회관, 이정표 순이다.

동석마을은 서석(西石), 명암(鳴岩)과 함께 석사리(石社里)에 속한 마을로 봉강면에서 가장 남쪽에 위치한다. 마을은 백운산 문덕봉 아래에 자리하고 있으면서도 옆으로는 순천과 가깝고 광양읍과도 맞닿아 있다. 

■동석마을의 유래

동석마을은 청도기시대 유적인 지석묘가 산포되어 있어 이 지역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선사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 당시 마을연혁은 알 수 없으나 문헌상 기록에 의하면 1600년경에 광양현 북면(北面) 며내리(旀內里)지역으로 추정되며 1700년대 초기 이후에는 며내면(旀內面)에 속했다.

1789년경 호구총수에는 며내면 석현촌(石峴村)지역이었으며, 1912년 지방행정구역 명칭일람에는 봉강면 동석리(東石里)라 했고 행정구역 개편 이후인 1917년 조선면리동일람에는 봉강면 석사리(石社里)에 속했다.

동석마을은 1500년대 초에 강씨 성을 가진 사람이 경남에서 이주해 이 마을에 터전을 잡고 살다가 9대 후손에서 가세가 기울어 다른 지역으로 이주했고, 그 후 성주배씨(星州裵氏)가 한양(서울)에서 입촌해 살았다고 전한다.

배씨는 당시 조정에서도 알아줄 정도로 권세가 있었으나 차차 몰락하고 다음에 강릉유씨(江陵劉氏)가 들어와 마을이 번창했다고 전하는데 현재도 강릉유씨가 제일 많이 살고 있다.

마을 이름 유래는 동석 인접마을인 지곡리 각비마을을 가려면 고개를 넘어야 하는데 이 고개가 돌이 많다고 해 돌고개라 하는데 이 돌고개 동쪽에 있다는 의미로 ‘동돌고개’라 했으며 한자식 표기로 동석(東石)이라 했다.

이 마을에 내려오는 전설로는 1650년경에 마을 중간에 등(燈)날개가 있었는데 이곳은 화재가 자주 일어나곤 했는데 어느 추운 겨울날 이 등날개에 불이 나서 바람 때문에 불을 끄지 못해 전체 마을이 소실됐고 그 후 여기에는 집을 짓지 않아 이곳을 경계로 동석과 서석의 경계가 됐다고 한다.

■옥현과 비석바구

행정구역상 동석마을에 속한 자연마을인 옥현(玉峴)마을은 현 광양고등학교에서 동석마을로 들어서는 굴다리 부근에 위치하는데 1872년 광양현 지도에 지명이 나타난 이후 각종문헌에 기록되어 전하고 있다. 

하지만 옛날부터 이 지역에서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나 입촌시기와 마을이름 유래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옥현마을에서 남해고속도로를 가로질러 야산의 남동쪽 사면부에 유물이 산포돼 있는데, 출토유물은 원삼국시대에서 고려시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시대에 걸친 유물들이 수습됐다. 현재 유물이 노출된 곳은 산자락이지만 산 중턱에까지 유적이 확인된 것으로 추정된다.

봉강면 석사리 옥현마을에 조그만 등이 있어 이를 ‘만주섬’이라 불려 왔는데, 광양에 부임하는 현감들이 섬인 것으로 착각해 울고 왔다가 광양의 인심이 좋고 생활환경이 좋아 떠날 때는 웃고 간다는 사연이 깃든 곳이다. 또 광양을 찾아오는 손님들을 마중하고 배웅할 때 이용한 서소정(西笑亭)이 있던 곳으로 전한다.

현재 광양고등학교에서 옥현마을로 오는 길가(매천로 695-9)에 높이 2.5m, 폭 2.2m 괴석형의 비석이 놓여 있는데 이 비석은 광양현감으로 재임하면서 선정을 베푼 3명의 현감을 기리기 위해 1개의 암석에 3명의 불망비를 새겨놓고 있다. 

이 비석이 서 있는 거리를 ‘비석 바구거리’라고 부른다.

한편 동석마을 지석묘는 마을에서 각비마을로 넘어가는 고갯마루에 위치한다. 마을에서는 지석묘가 위치한 곳을 돌고개라고 부르며, 동서2열로 5기가 있는데 고갯길을 내면서 지석묘 일부가 훼손되고 기울어져 있다.

양재생 기자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