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망기 발행인
황망기 발행인

포스코의 정비자회사 설립이 한달도 채 남지 않은 가운데 이를 둘러싼 지역사회 반발이 포스코 측의 소통을 통한 설득 노력에도 불구하고 계속 이어지고 있다. 여기에 이달 중 성과도출을 공언했던 상생협력 T/F는 회의 일정도 잡지 못한 채 표류하고 있다. 지역과 기업의 갈등 장기화는 양측 모두에게 상처만 남길 뿐이다. 포스코 측은 정비자회사 설립에 따른 지역 소상공인들의 피해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지만, 지역사회에서는 이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는 분위기다. 이는 포항지역의 사정도 별반 다르지 않다는 소식이다. 지역사회는 구두약속이 아니라 지역사회 피해가 없도록 하겠다는 문서화된 공식화를 요구하고 있다고 한다. 기업환경이 어떻게 변화할 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문서화된 약속을 꺼리는 저간의 속사정도 이해는 간다. 그렇지만, 요즘과 같은 시의회를 비롯한 지역사회의 기업에 대한 반발은 일정부분 포스코가 자초한 측면이 있다. 경영과 관련, 지역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거나 지역사회와 협의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기업의 의사결정이 지역내에 엄청난 파급효과를 가져올 경우 이를 단순히 기업만의 문제라고 강변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기업과 지역의 동반성장이 기업의 지역에 대한 일방적인 시혜는 아니다. ‘기업시민’을 경영이념으로 내건 만큼 시민으로서의 책무가 무엇인지 되돌아보는 노력도 필요하다. 기업이 지역의 역량을 키우는데 힘을 보태는 것도 지역을 기반으로 한 기업시민의 책무라 할 수 있다. 이는 관련된 소상공인들의 경쟁력을 키워주고, 관련업체의 역량을 키워주는 것과도 연계된다. 지역의 소상공인들이 그동안 경쟁력을 키워왔다면 포스코의 정비자회사 설립에 따른 피해를 우려하는 일도, 반발하는 일도 줄었을 것이다.

 

포스코 광양제철소는 얼마 전 광양에 홍보관과 교육관을 갖춘 복합문화공간을 2024년말까지 건립하겠기로 하고, 착공식을 가졌다. ‘Park1538 광양’이 그것이다. 광양에 수조대의 투자를 진행하는 포스코가 1천억원대의 공사를 하는 것에 주목하는 것은 이 사업에 과연 지역 업체가 얼마나 참여할 수 있을 것인가에 있다. 그간 지역에 대한 투자에 있어 지역업체들이 소외되어 왔다는 피해의식은 실존하는 것이다. 능력과 실력을 갖춘 지역업체가 있다면 가능하면 지역업체의 참여 폭을 늘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양 땅에서 진행되는 투자의 과실을 외지 업체들이 추수하고, 지역 업체는 참여기회조차 박탈당한다면 심각한 차별이다. 상생협력 T/F에서 실효성이 의심되는 광양구매팀 신설을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는 것도 현지 구매를 통한 지역 소상공인들의 참여 폭을 늘릴 수 있다는 희망 때문일 것이다. 지역에 기반을 둔 기업활동이 지역의 지지를 확보하지 못한다면 이는 해당기업에게도 부담이 될 것이다. 비온 뒤에 땅이 굳어진다는 속담은 여전히 유효하다. 지금의 갈등국면을 하루 속히 해소하고, 지역과 기업이 상생발전을 위해 손잡고 나아갈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