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희 구{시조시인∙문학평론가 문학박사∙필명 여명 장강 사)한국한문교육연구원 이사장}
장 희 구{시조시인∙문학평론가 문학박사∙필명 여명 장강 사)한국한문교육연구원 이사장}

        途中[1](도중) 

                                            지봉 이수광

 

        강둑의 버드나무 사람보고 춤을 추며

        숲 속의 꾀꼬리는 나그네와 노래하고

        산 모습 산뜻 하구나 풀잎들이 돋는다.

        岸柳迎人舞    林鶯和客吟

        안류영인무    임앵화객음

        雨晴山活態    風暖草生心

        우청산활태    풍난초생심

자연은 시심 덩어리 한 아름씩을 안고 있다. 시어가 쑥쑥 솟아나오기도 하고, 시제가 움칠움칠 머리를 내밀기도 한다. 오른 쪽으로 비틀면 갑순이고, 왼쪽으로 돌리면 갑돌이 된다나. 행여나 다칠세라 시지에 곱게 싸서 담기도 하고, 행여나 튕겨나갈새라 시통에 깊숙이 담기도 한다. 길을 걸으며 고개 내민 시심을 어찌 억제할 수 있었으리. 강둑 버드나무는 사람을 보고서 춤을 추고, 숲 속 꾀꼬리는 나그네 따라 노래를 부르네 라고 읊었던 시 한 수를 번안해 본다.

바람이 따스하게 불어오니 풀잎도 쑥쑥 돋네(途中1)로 제목을 붙여본 오언율시 전구다. 작자는 지봉(芝峯) 이수광(李晬光:1563~1628)이다. 위 한시 원문을 의역하면 [강둑 버드나무는 사람을 보고 나서 춤을 추고 / 숲 속 꾀꼬리는 나그네를 따라 노래를 부른다네 // 비가 개이니 산 모습은 더욱 산뜻하고 / 바람이 따스하게 부니 풀잎도 쑥쑥 돋아나네]라는 시심이다.

위 시제는 [길을 걸으면서1]로 번역된다. 시상에 취한 사람은 꿈길에서도 상상의 나래를 폈다. 밥을 먹다가도, 대화를 하다가도 시상을 떠올렸다. 시심을 간직했다면 길을 가는 도중에도 시상을 떠올렸다. 꿈틀거리는 시상은 시간과 장소를 가리지 않고 막 쏟아져 나왔던 것으로 보인다.

 시인의 시상은 자연에서 들리는 소리까지도 간직했다. 강둑에 서 있는 버드나무는 사람을 보고서 춤을 추고, 숲 속 꾀꼬리는 나그네를 따라 노래를 부르면서 덩실덩실 춤을 춘다고 했다. 자연의 소리에 조화를 이루어 춤을 추었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화자의 눈에 비춰진 자연은 노래 소리를 들으면서 잘거리는 소리를 내며 쑥쑥 자라는 모습을 상상해 냈다. 비가 개이니 산 모습은 더욱 산뜻하고, 바람이 따스하게 부니 풀잎도 쑥쑥 돋아났더라는 상상을 냈다. 상상의 시인의 마음 속에서 우러나오는 시상이다.

 이어지는 후구에서는 [풍경은 시 속에서 그림처럼 읊어지고 / 개울물은 악보 없는 가락을 열심히 연주하네 // 갈 길은 멀어서 가도 가도 끝이 없는데 / 멀리 지는 해는 저만치 산마루에 부서지네]라고 했다.

위 감상적 평설에서 보였던 시상은, ‘버드나무 춤을 추고 꾀꼬리는 노래 불러, 비 개인 산 산뜻하고 풀잎도 쑥쑥 돋네’라는 시인의 상상력과 밝은 혜안을 통해서 요약문을 유추한다.

작가는 지봉(芝峯) 이수광(李晬光:1563~1628)으로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1585년(선조18) 문과에 급제, 1592년(선조25) 임진왜란 때 경상남도 방어사 조경지의 종사관으로 용인에서 패전했다. 어려웠던 정국에 살면서도 당쟁에 휩쓸리지 않았으며, 강직하면서도 온화한 입장을 늘 지켰다.

【한자와 어구】

岸柳: 강 언덕에 늘어진 버드나무. 迎: (사람을) 맞이하다. 人舞: 사람을 보고 춤추다. 林鶯: 숲 속의 꾀꼬리. 和客吟: 나그네를 따라 노래 부르며 화답하다. // 雨晴: 비가 개다. 山活態: 산 모습이 활발하다. 風暖: 바람이 따뜻하다. 草生心: 풀이 돋아날 기미다. 풀이 돋은 심산이다.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