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희구 {시조시인, 문학평론가 문학박사, 필명 여명 장강사)한국한문교육연구원 이사장}
장희구 {시조시인, 문학평론가 문학박사, 필명 여명 장강사)한국한문교육연구원 이사장}

        人生(인생)

                                       하서 김인후

        어디로 좇아와서 어디로 향하는지

 

        오고감 일정하게 자취가 없어서라

        공연한 백년 계획에 인생만이 아득해.

        來從何處來    去向何處去

        래종하처래    거향하처거

        去來無定蹤    悠悠百年計

        거래무정종    유유백년계

수많은 선현들은 인생은 어디서 왔다가 어디로 가는 것인지 물었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철학공부를 했고 인생 공부에 전념했다. 그렇지만 정답을 얻지 못했다. 시작점과 종착점이 어디있지 모르기 때문이다. 성인군자나 진시황을 비롯해서 천하를 호령했던 자나 사서인에 이르기까지 어느 누구도 정답을 찾지 못한 채 봇짐을 싸들고 갔다. 인생은 어느 곳으로 향해서 가는 것인가, 공연하게 백년 계획만 아득하게 짓고만 있구나 라고 읊었던 시 한 수를 번안해 본다.

인생은 본래 그 오고 가는 것이 일정한 자취가 없거늘(人生)로 제목을 붙여보는 오언절구다. 작가는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1510∼1560)이다. 위 한시 원문을 의역하면 [(인생은) 어느 곳으로부터 좇아와서 / 어느 곳으로 향해서 가는 것인가 // (하물며) 그 오고 가는 것이 일정한 자취가 없거늘 / (인생은 공연하게) 백년 계획만 아득히 짓고만 있구나]라는 시심이다.

위 시제는 [인생이란 무엇인가]로 번역된다. 사람은 어디서 왔다가 어디로 가는 것인지를 묻는다. 그렇지만 여기에 대한 분명한 답을 제시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덧없이 왔다가 덧없이 가는 것이라고, 뜬 구름 같은 인생이라고…들 이야기한다. 분명한 것은 한번 왔다가 한번 가는 인생이니 세상에 살면서 보람된 일을 하고 가자고 한다. 뜻있고 보람된 일을.

 시인은 이런 선문에 대한 물음에 자기 대답을 뚜렷하게 내놓지 못한다. 도대체 인생은 어디로 좇아와서 / 어디를 향해 가는 것인가에 대한 물음을 만지작 거린다. 수천년동안 철학자와 예언자들까지도 많은 사람들이 물음을 던졌다. 덧없는 것이 인생이라고, 인생은 고행의 길, 수양의 길이라고만 했다.

 시원한 대답을 내려놓지 못한 화자는 현실인식에 대한 자기 고뇌를 피력하고 만낟. 사람이 그 오고 가는 것이 일정한 자취가 없거늘, 공연한 인생은 백년 계획만 아득하게 짓는구나 라는 자기 휘포를 풀어 놓게 된다. 백년도 채 살지 못하는 인생의 자취가 어디인지  알 수 없거늘 백년의 너덜너덜한 계획만을 늘어 놓는다고 가장 가까우면서도 쉬운 명제를 제시한다.

위 감상적 평설에서 보였던 시상은, ‘어느 곳을 좇아와서 어느 곳으로 가는가, 오고감이 자취 없거늘 백년계획만 짓고 있네’라는 시인의 상상력과 밝은 혜안을 통해서 요약문을 유추한다.

작가는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1510∼1560)로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다. 다른 호는 담재(湛齋)로도 했다. 김안국에게 <소학>을 배웠고, 1531년 사마시에 합격해 성균관에 입학했다. 이황 등과 교우가 두터웠다. 1540년 급제해 권지승문원부정자에 등용되었고 1541년 사가독서했다.

【한자와 어구】

來從: 좇아서 오다. 何處: 어느 곳으로부터. 來: 오다. ‘앞문장’과 연결되어 의문사를 나타냄. 去向: 향해 가다. 何處: 어는 곳. 去: 가다. ‘앞문장’과 연결되어 의문사를 나타냄. // 去來: 가고 오다. 無定蹤: 일정한 종적이 없다. 자취가 없다. 悠悠: 생각하니. 아득함을 보니. 百年計: 백년의 계획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