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마을은 옥곡정류소가 있는 옥곡삼거리 부근의 마을로 자연마을인 대곡,세곡,산요가 포함된다. 사진은 위에서부터 옥곡5일시장, 신금교, 옥곡삼거리, 마을회관, 마을 표지석 순이다.
신기마을은 옥곡정류소가 있는 옥곡삼거리 부근의 마을로 자연마을인 대곡,세곡,산요가 포함된다. 사진은 위에서부터 옥곡5일시장, 신금교, 옥곡삼거리, 마을회관, 마을 표지석 순이다.

신기마을은 옥곡5일장과 옥곡버스정류소가 자리하고 있는 옥곡삼거리 일대의 마을로 정토천이 흐르는 신금교에서부터 진상면 경계에 있는 밤골산까지 이른다. 행정리상 신금리가 되며 자연마을인 대곡, 세곡, 산요가 있다.

■대곡·세곡·산요 유래

신기마을은 본래 광양현 동면(東面) 옥곡리(玉谷里)지역으로 추정되며 1700년대 초기 이후에는 옥곡면 지역이었으며, 1789년경 호구총수에는 옥곡면 신흥촌(新興村)지역에 속한 것으로 추정된다.

신기마을은 신금뜰에서 묵백천 건너 동쪽에 위치한 대곡(大谷)에서부터 옥곡5일시장이 있는 ‘세곡(細谷)’ 그리고 옥곡버스정류소가 있던 ‘산요(山腰)’까지 포함한다.

대곡이라는 이름유래는 마을 뒤 ‘수달피골’이라는 골짜기가 길고 크다는 의미에서 ‘큰골’ 즉 대곡(大谷)으로 불리게 됐다.

세곡은 대곡(큰골)에 비해 마을 터가 좁고 가늘다하여 ‘가는 골’ 즉 세곡(細谷)이라 이름했다고 전한다. 

산요는 이 지역이 산허리를 따라 이루어졌다는 의미를 한문으로 쓰면서 산요(山腰)라 했다. 

현재는 산허리가 형체가 없이 사라져 버렸는데 원래 국도 2호선을 개설하기 전까지는 옥곡정류소 앞이 산의 허리 부분에 해당됐다. 그전의 산줄기는 남해고속도로가 지나는 곳까지 뻗어 있었다.

신기마을은 옥곡버스정류장이 있고 남해고속도로와 경전선 철도가 인접해 지나가고 있어 교통의 중심지가 되고 있다. 또한 옥곡5일시장이 자리하고 있어 상권의 중심지가 되어 상업에 종사하는 주민이 많다. 현재 마을은 광양제철소 건설영향을 받아 주택정비 및 도로가 확장되면서 도시다운 면모로 마을이 변화되고 있다.

■옥곡5일시장 및 특이사항

신기마을에는 신금교 동남쪽에 옥곡5일시장이 있다. 

옥곡5일시장은 1962년에 장동리(장기리)에서 이곳으로 옮겨 왔는데 당시 장기리(場基里)는 수해지구가 되어 물난리를 자주 겪으면서 시장(市場)이 이전됐다. 현재 옥곡5일시장은 4일과 9일에 열리며 옥곡면의 각종 토산물과 생필품을 거래하는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또 산요에서 진상면으로 넘어가는 국도2호선을 따라 1km정도 위치에는 산요유물산포지가 있다.

 산요 남서쪽에 펼쳐져 있는 평지의 끝부분으로 산의 계곡부에 형성된 평지에 해당되는데 이곳에서는 경질토기편 등이 수습됐으며, 원산국시대(삼한)의 유물로 추정하고 있다.

마을 동북쪽에는 장군바위라 하는 지석묘가 있다. 

이 지석묘는 초석(礎石) 4개가 밑을 받치고 있었는데 옛 무명장군의 묘(墓)로 추정된다. 동학란 때 농민군(의병)이 이곳에 집결해 싸움에 나갔다하여 이 바위를 ‘장군바구’라고 했는데, 도로 확포장 공사로 인해 ‘장군바구’는 사라졌다.

또 마을에는 ‘시루봉전설’이 내려온다. 

옛날 천지개벽이 일어나서 바닷물이 온통 옥곡을 덮어 버렸는데 그 중 한군데 산꼭대기가 남아 있었고, 그곳이 바로 ‘시루봉’이었다. 시루봉은 그 모양이 마치 시루떡을 찌는 데 쓰는 시루같이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전하고 있다.

양재생 기자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