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봉마을은 비옹산 자락 안쪽에 자리한 마을로 당저마을과 하봉마을과 맞닿아 있다. 사진은 위에서부터 마을전경, 마을회관, 홍서정, 거연정, 봉강초등학교 순이다.
상봉마을은 비옹산 자락 안쪽에 자리한 마을로 당저마을과 하봉마을과 맞닿아 있다. 사진은 위에서부터 마을전경, 마을회관, 홍서정, 거연정, 봉강초등학교 순이다.

광양 서천을 따라 성불계곡을 향해 오르다 보면 비봉산이 나오는데 이 비봉산 기슭 가장 안쪽에 상봉마을이 있다. 서천을 끼고 있어 자연경관과 어울리면서도 봉강면사무소, 봉강우체국, 봉강초등학교가 소재한 마을이기도 하다.

■상봉과 봉계 유래

상봉마을은 본래 광양현 북면(北面) 며내리(㫆內里)지역으로 추정되며 1700년대 초기 이후에는 광양현 며내면에 속했다. 1789년경 호구총수에는 며내면 봉서촌(鳳棲村)지역이었으며 1872년 광양현 지도에는 며내면 상봉리(上鳳里)라 하여 마을이름이 문헌상 처음으로 기록되어 전해진다.

상봉마을은 당저(堂底)의 동북쪽에 있는 마을로 1350년경에 기계유씨(杞溪兪氏), 김해김씨(金海金氏), 진주강씨(晉州姜氏), 경주정씨(慶州鄭氏)가 차례로 이곳에 정착했다고 전한다. 

마을이름은 비봉산(飛鳳山) 기슭에 자리하고 있는 봉당리 마을 중 제일 위쪽에 있다는 의미로 상봉(上鳳)이라 했다고 전해진다. 같은 의미로 상봉과 맞닿아 있는 아래 마을을 하봉마을이라고 한다.

상봉마을은 봉강면 봉당리에 속해 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당저, 조양, 하봉, 상봉, 봉계를 병합하는 과정에서 봉계와 당저의 첫글자를 따서 봉당리(鳳堂里)라는 이름이 만들어졌다. 봉당리 지역 내의 자연마을 지명은 대부분 비봉산(飛鳳山)을 중심으로 연유해 지어졌다.

상봉마을은 마을 안쪽 봉강천변을 지나 자리하고 있는 봉계마을을 포함한다. 봉계마을은 봉계교를 지나면 나오는데 ‘비봉산 밑으로 앞에 내가 흐른다’는 뜻에서 봉계(鳳溪)라 했다고 전해진다.

■거연정과 홍서정

상봉마을 봉강천변에는 거연정(居然亭)이라는 정자가 있다. 

거연정은 단층 팔작지붕형 건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재실형 구조로 되어 있는데 1898년 광양 교육의 선봉자이셨던 박희권 선생께서 독서처로 건립한 곳이다. 

박희권 선생은 1906년 광양향교 내에 사립 광명학교를 설립 운영한 광양 최초의 근대 교육자로 자는 영유(永裕)이고, 호는 술재(述齋), 본관은 상주(尙州)다. 

거연정은 아들 박홍진(朴洪晋)이 서당을 개설하고 훈장을 모셔 후학을 양성하던 곳이기도 하다. 건립 이후 오랫동안 황폐되어오다 1938년 후손 박종린(朴鍾麟)과 박종룡(朴鍾龍)에 의해 새롭게 중건됐다.

거연정은 박희권 선생의 독서처뿐만 아니라 지역 문우들의 교류처로서 활발하게 운영되기도 했는데 구한말 우국지사 매천 황현과 교류했던 정자로 알려져 있다. 매천 선생은 ‘거연정기’라는 기문을 지어주기도 했다.

거연정 오른쪽 귀퉁이를 돌다 보면 거대한 암벽에 거연정(居然亭)이라는 제명이 새겨져 있다.

또 마을 오른쪽 봉강비봉 복지관 앞쪽에는 마을 주민들이 쉴 수 있는 ‘홍서정(鴻棲亭)’이라는 정자가 마련돼 있다. 홍서정은 기러기가 쉬어 간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양재생 기자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