胸生火(흉생화)

                                                    백호 임제

        겨울에 부채 준다고 괴하게 생각 말고

        나이 어려 깊은 뜻을 이 어찌 알랴마는

        밤중에 가슴에 불은 유월 염천 같다오.

        莫怪隆冬贈扇枝    爾今年少豈能知

        막괴융동증선지    이금년소기능지

        相思半夜胸生火    獨勝炎烝六月時

        상사반야흉생화    독승염증육월시

일지매를 가까이 따른 동기(童妓) 월선과 헤이지면서 부채에 써준 시문의 한 구절이 후대에 연서의 한 족적을 남길 줄이야 그는 미처 몰랐을 것이다. 남녀 간의 사랑은 뜨거운 불에 비유한다. 유월 염천의 불덩이보다 뜨겁고 그 열기는 여기에 비유하고 있다. 백호에게 받은 이 부채를 월선은 평생 몸에 지니고 다녔다고 전한다. 그래 너는 아직 나이가 어리니 어찌 그 뜻을 알랴마는, 임 그리워 한밤에 가슴 속에 불이 일어난다면 하고 읊었던 시 한 수를 번안해 본다.

유월 염천 무더위 정도는 비길 바 아니니라(胸生火)으로 제목을 붙인 칠언절구다. 작가는 백호(白湖) 임제(林悌:1549∼1587)다. 위 한시 원문을 의역하면 [얘야, 한 겨울에 부채를 준다고 괴이하게 여기지 말아라 / 너는 아직 나이 어리니 어찌 그 뜻을 알랴마는 // 임 그리워 한밤에 가슴 속에 불이 일어난다면 / 유월 염천의 무더위 정도는 비길 바 아니니라]라는 시심이다.

위 시제는 [가슴이 불이 일어나면]으로 붙여본다. 시인은 얼마나 바빴던지 제목을 붙이지 못했기에 필자가 임의로 붙였다. 백호와 한우(寒雨)가 수창했던 시조의 종장만 제시한다. [오늘은 찬 비 맞았으니 얼어 잘까 하노라(白湖) // 오늘은 찬비 맞았으니 녹아 잘까 하노라(寒雨)]라는 사랑의 장단이 딱 맞은 ‘가야금에 그 옥퉁소’였으리라. 이 시가 인연 끈이 되어 평양 천하 명기 일지매(一枝梅)를 만났단다.

 일지매와 하룻저녁 깊은 사랑에 빠지고 난 후 시인이 평양을 떠날 무렵 친구들 송별연에, 월선(月仙)이란 아리따운 동기(童妓)를 앉혔다. 잘 놀고 점잖게 자리를 뜨면서 어린 기생에게 부채 하나를 선물했다. 이 부채를 받은 동기는 평생 백호를 그리면서 항상 품에 지녔다고 한다.

 화자는 부채에 시 한 수가 써 주었고 월선 동기는 선배 ‘한우’와 ‘일지매’에게도 퍽이나 많이 자랑했으리라. “동기 너도 크면 알게 되리라 사랑의 이 노래를”…이라고 하면서 “유월 염천 무더위에 비길 바 아니리라. 한 밤중 임 그리워 가슴에 불이 일어나면”이라 했다는 설화와 같은 이야기가 구전되는 것이 이 작품의 시적 배경이란다.

위 감상적 평설에서 보였던 시상은, ‘겨울 부채 괴이하지 말라. 나이 어려 알랴 마는 한 밤중 불이 일면 유월염천 더위 비기랴’라는 시인의 상상력과 밝은 혜안을 통해서 요약문을 유추한다.

작가는 백호(白湖) 임제(林悌:1549∼1587)로 조선 중기 문신이자 시인이다. 절도사 임진의 아들이다. 다른 호는 풍강(楓江), 소치(嘯癡), 벽산(碧山), 겸재(謙齋)으로 알려진다. 어려서부터 지나치게 자유분방하여 스승이 따로 없다가 20세가 넘어서야 속리산에 있던 성운 문하에서 수학했다.

【한자와 어구】

莫怪: 괴이하게 여기지 말라. 隆冬: 성한 겨울. 贈扇枝: 기녀에게 부채를 주다. 爾今: 너는 지금. 年少: 나이가 어리다. 豈能知: 어찌 능히 그 뜻을 알랴. // 相思: 임이 보고 싶다. 半夜: 깊은 밤. 야밤에. 胸生火: 가슴이 불이 나다. 獨勝: 홀로 이기다. 炎烝: 찌는 여름. 六月時: 유월의 더운 여름. ‘炎烝’과 같음.

저작권자 © 광양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